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무섭게 오르는 식탁 물가🎢 이럴 때 투자할만한 농산물 ETF (DBA, MOO, TIGER 농산물선물Enhanced(H), KODEX 3대농산물선물(H) | 글로벌ETF

by 청공아 2025. 3. 28.

https://www.youtube.com/watch?v=x8UhmfrYNC0&list=PLQS_tbxbhqwzsI5kvqM1OpD9Fy6I5_o81&index=31&pp=gAQBiAQB

 

최근 농산물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악화되었습니다. 유엔 식량 농업 기구에 따르면, 최근 농산물의 식품 물가 지수가 1990년 이후 가장 큰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산물에 투자하려는 이들에게 ETF 상품에 대한 정보가 유익할 수 있습니다. 특히, DBA와 MO와 같은 다양한 ETF를 통해 농산물시장에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생기는 현 시점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이 영상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농산물 가격 상승과 투자 기회

  • 최근 농산물가격이 역사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FAO에 따르면 3월 식품 물가 지수가 전월 대비 12.6% 상승했다.

  • 특히, 식물성 기름이 23% 올라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으며, 곡물 가격도 27% 상승하여 1990년 이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 이러한 농산물 가격 상승은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매수나 매도에 대한 구체적인 추천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2.  농산물 가격 상승의 원인과 전망

  • 코로나19로 농산물 생산유통에 어려움이 생겼으며, 이는 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이 곡물 가격을 상승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우크라이나의 밀과 옥수수 수출이 각각 10%와 18% 감소했다.

  • 천연가스와 유가의 급등은 비료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결국 농산물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 미국이 에탄올 비중을 늘려 농업용 옥수수의 수요가 증가해 옥수수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 각국의 농산물 수출 금지 조치가 국제 시장에서 농산물의 공급을 줄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격 상승의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2.1. 농산물 가격 상승의 원인
  • 최근 설탕, 육류, 유제품 등 농산물가격이 역대급으로 상승하고 있다.

  • 농산물 가격 상승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해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이 농산물 가격 상승에 기여하며, 특히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수출의 10%와 옥수수 수출의 18%를 차지하는 국가로, 생산이 어려워졌다.

  • 또한 천연가스 가격 상승이 곡물 가격을 추가적으로 밀어올리고 있다.

  •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가 러시아 원유와 천연가스를 중단하면서 글로벌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하였다.

2.2. 천연가스 가격 상승과 농산물 가격의 관계
  • 천연가스 가격 상승은 비료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비료는 천연가스와 석탄에서 추출한 암모니아를 이용해 만들어지며, 이 과정에서 비료 가격이 영향을 받는다.

  • 2023년 3월 비료 가격지수는 237점으로, 이는 지난해 3월에 비해 2배 이상 상승한 수치이다.

  • 비료 가격 상승은 필연적으로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연결된다.

  • 또한, 천연가스와 함께 유가의 급등도 곡물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2.3. 에탄올 혼합과 농산물 가격 상승
  • 미국은 2007년부터 모든 수송용 연료에 에탄올 5%를 혼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최근 에탄올 비율을 15%로 증가시켰다.

  • 이 규정의 주 목적은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데 있으며, 에탄올은 석유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다.

  • 에탄올의 주요 원료는 옥수수로, 옥수수 비율을 높이면 자연스럽게 옥수수 가격이 오르게 된다.

  • 농산물가격은 당분간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생산량을 즉시 늘릴 수 없는 구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 식품 기업들은 3개월 치 이상의 상동 선물을 확보하며 가격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 농산물 가격 상승은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반영되고 있다.

2.4. 농산물 가격 상승과 정부의 대응
  • 각국 정부는 농산물 부족 우려로 인해 수출을 제한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 인도네시아는 국내 팜유 부족을 이유로 아예 수출을 금지한 사례가 있다.

  • 식량 및 비료 수출을 금지한 건수가 지난달에만 36건에 달한다.

  • 정부의 수출 제한조치는 국제 시장에서 유통되는 농산물물량을 줄여 가격 상승을 초래하고, 이는 다시 수출 제한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낳는다.

  • 세계 은행은 2024년까지 원자재와 곡물 가격이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  농산물 ETF 투자 전략

  • 미국 상장 ETF중 대표적인 농산물 ETF인 DBA는 10개 종류의 농산물선물에 70%, 나머지 30%는 채권에 투자하여 변동성을 줄이려는 의도가 있다.

  • 다양한 농산물선물을 담고 있어 분산이 잘 되어 있지만, 운영 보수가 연 0.9%로 다소 높은 편이다.

  • 다른 접근 방식으로는 MOO가 있으며, 이는 농산물선물이 아닌 농업 관련 기업주식을 담고 있어 에너지 기업의 실적 좋아질 때 주식에 투자하는 전략과 유사하다.

  • MOO는 독일의 바이에른 농업 기업을 포함하며, 롤오버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주식이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 국내의 농산물 ETF로는 타이거 농산물 선물코덱스 3대 농산물 선물이 있으며, 운용 보수는 각각 연 0.69%0.5%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4.  글로벌 농산물 시장과 투자 기회

  • 농산물시장의 가격 방향을 예측하는 것은 복잡한 변수들이 얽혀 있어 매우 어렵다.

  • 주식 시장의 변동성과 인플레이션이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속에서, 농산물 ETF는 대안 투자처로 고려될 수 있다.

  • 투자자들은 농산물시장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새로운 투자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영상에서는 농산물시장 상황과 관련된 ETF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