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AHi4DVKCxcU
1. 전세 계약 10년 법안의 배경 및 주요 내용
-
전세 계약을 10년으로 보장하는 법안이 발의되었으며, 이는 임차인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주당의 민생 의제에 포함되었다.
-
현재 전세 계약은 2년 단위로 갱신할 수 있으며, 최대 10년까지 2년씩 연장이 가능하다.
-
전세금은 갱신할 때마다 5%씩 증가하며, 10년 동안 총 30%가량 상승하게 된다.
-
법안 시행의 이유는 임차인이 전세금 인상으로 인해 불리한 처지에 놓이는 상황을 방지하는 데 있다.
-
과거 진보당에서는 무제한 전세 계약 갱신권법안을 발의했지만, 이는 철회되었고 현재 10년 갱신권으로 대체되었다.
2. 전세 공급 물량 감소와 가격 폭등 가능성
-
현재 시장에서 전세 공급 물량이 전멸하고 있으며, 이는 전세가 입주 후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
신축 아파트의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며, 이는 공사비, 인건비, 자재비 상승으로 인해 건설사들이 마진을 남기지 못해 발생하고 있다.
-
이러한 전세 공급 감소로 인해 집주인은 세입자에게 도리어 부담을 지게 되는 상황이며, 세입자는 10년간 집을 사용하는 구조로 변하게 된다.
-
전세 가격은 이미 폭등하고 있으며, 2+2년 계약 후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
세입자들은 전세 가격을 최대한 많이 올려서 계약하려고 할 것이며, 이로 인해 향후 10년 동안 전세 가격이 폭등할 수 있다.
3. 전세 가격 상승과 임대차 법안의 영향
-
2020년과 2021년 동안 전세 가격이 각각 7.5%와 12% 상승하여 2년 사이에 대략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세입자가 전세 비용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상한선 5%에 따라 연장이 가능하지만, 결국 세입자는 기존 전세에서 나가야 할 상황에 처할 수 있다.
-
전세 가격이 정부의 임대차 입법 이후에는 공식처럼 5%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지 않음을 반영하고 있다.
-
전세 가격 상승은 집 가격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쳐, 전세가가 상승하면 집값 또한 따라 상승하게 된다.
-
전세 물량의 감소로 인해 월세로의 전환이 증가하면서, 세입자들은 월세로 몰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4. 전세 계약과 월세, 집값의 상관관계
-
월세 가격이 상승하면 전세 가격도 오르고, 그로 인해 집 가격이 다시 상승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
세입자들은 임대차 계약 갱신 기간으로 2+2를 가장 선호하며, 이는 전체의 54.1%를 차지한다.
-
긴 계약 기간에 대한 선호는 낮고, 2+1년이 그다음으로 선호되며, 가격 상승 우려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시장에 대한 과도한 정치적 개입이 집값 폭등을 초래하고, 여야의 정책이 시장에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
개인적으로는 시장 원리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정치권의 과도한 개입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5. 전세 계약과 건전한 부동산 시장 조성
-
시장 자율성을 강조하며 집주인과 세입자가 알아서 조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건전한 부동산 시장을 만들 것이라고 주장한다.
-
정치권에서는 공급 문제에 대해 빠르고 좋은 공급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년 만에 70억 자산가가 된 재테크 투자 방법 (유근용 저자) (4) | 2025.03.20 |
---|---|
토지 투자로 돈 벌고 싶으면 '이 영상을' 꼭 보세요 (김종율 대표, 옥탑방보보스) (1) | 2025.03.18 |
2025년 KB 부동산 시장 전망 요약 (0) | 2025.03.17 |
이번 하락장은 서울도 못 버티고 무섭게 빠진다는데... (3) | 2024.11.22 |
끝없이 추락하는 뉴욕 빌딩 가격, 한국 보다 싸졌다, 트럼프의 대응은? (박종훈의 지식한방) (3)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