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YnaQml4Ya8M&list=WL&index=88&pp=gAQBiAQB
1. 미국 부동산 명의의 중요성
-
미국에서 집을 구매할 때, 지역, 커뮤니티 시설, 가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는데, 명의인 타이틀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
부동산 명의때문에 생길 수 있는 재정적 손실이 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대 2억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복잡한 법적, 회계적 측면을 간단히 설명하며, 정확한 사항은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을 권장한다.
2. 부동산 단독 명의의 중요성
-
부동산 명의에서 소유권은 개인이 단독으로 가지는 것으로, 싱글뿐만 아니라 결혼한 부부도 가능하다.
-
부부가 집을 구입할 경우, 한 쪽이 퀵 클레임을 통해 다른 쪽의 권리를 포기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
캘리포니아에서는 법적으로 부부가 집을 산 경우, 자금을 누가 더 많이 투자했는지와 상관없이 소유권이 반반으로 나뉜다.
-
남편이 비즈니스를 운영 중일 경우, 비즈니스 파산 시 집이 강제 처분될 수 있지만, 퀵 클레임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가족 간의 갈등으로 인해, 아내만 단독 명의를 갖길 원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독 명의 조건을 요구할 수 있다.
3. 공동 명의의 개념과 장점
-
공동 명의는 두 명 이상의 개인이 함께 명의를 소유하는 형태이다.
-
공동 명의를 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부부가 아닐 수 있으며, 부모 자식이나 친구들도 포함될 수 있다.
-
조인트 테넌시는 다수의 사람이 동일한 시간에 같은 명의와 지분으로 소유권을 가지는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한국인들이 조인트 테넌시를 많이 선택하는 이유는 라우브 서바이벌( 생존자의 권리) 때문이다.
-
조인트 테넌시소유자 중 한 사람이 사망할 경우, 사망자의 지분이 다른 생존자들 간에 고르게 분배된다.
4. 🏠 미국 부동산 공동명의 제도 이해하기

-
A, B, C, D 네 사람은 각자 25% 지분을 소유하게 되어 공동으로 부동산을 소유한다.
-
이 제도는 한국에는 없는 것으로, 다소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
공동명의가 선호되는 이유 중 하나는 상속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재산으로 이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부모와 자식이 함께 조인 테넌시를 설정하는 경우가 흔하다.
-
두 번째 형태인 커뮤니티 프로퍼티는 부부만이 소유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는 공동으로 할 수 없다.
5. 🏡 공동명의 방식의 이해

-
조인트 테넌시방식에서는 사망 시 가족이 사망자의 재산에 전혀 관여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한다.
-
커뮤니티 프로퍼티위드 오브 서바이버는 부부만 가능한 명의 방식으로, 한쪽이 사망하면 남은 배우자가 재산을 완전히 상속받는다.
-
이 방식은 조인트 테넌시의 장점에 세금 혜택을 추가한 형태로, 한 사람이 사망했을 때 세금 계산이 다르게 적용된다.
-
예를 들어, 커뮤니티 프로퍼티로 구매한 주택의 경우 사망 시점의 평가가 대세로 산정되어 양도세를 줄일 수 있다.
6. 양도세와 리모델링의 중요성

-
양도 차액이 25만 불 이하일 경우 거주 주택은 양도세가 면제되어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아도 된다.
-
조인트 테너로 명의가 되어 있을 경우, 양도 차액이 90만 불이 되고 면제 세금 25만 불을 제외하면 65만 불에 대해 세금이 부과된다.
-
조인트 테너 시에는 약 20%의 세금이 적용되어 약 13만 달러, 즉 2억 원 가까이 되는 금액을 내야 할 수도 있다.
-
명의 선택의 차이를 잘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큰 혜택을 가져올 수 있다.
-
리모델링이 집의 가치 상승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잘못된 리모델링은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권자도 추방 되었다고? 당신이 모르는 위험한 진실! (7) | 2025.04.04 |
---|---|
‘낙원’ 캘리포니아를 떠난 이유 | 꼭 봐야 할 다큐멘터리 (4) | 2025.03.14 |
[미국의사] 미국 병원비 폭탄! 그냥 내지 마세요: 병원비 협상의 5단계 (1) | 2025.03.10 |
왜 미국 집들이 점점 안팔리기 시작할까? (0) | 2025.02.25 |
미국 시골에 살면 부자가 되는 이유 (8)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