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A6nCuFcSLKo&list=WL&index=1&t=176s&pp=gAQBiAQB
거래량 데이터를 통한 시장 동향 분석
이현철 아파트사이클연구소 소장이 2006년부터 현재까지 거래량을 분석해 시장 동향을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거래량에 집중하면 부동산 공급과 수요에 대한 간접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공급과 더불어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거래량 지표는 특히 주식과 기타 금융상품을 살펴볼 때 시장의 강세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접적인 수요 예측에서 거래량의 중요성
거래량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만남을 반영하기 때문에 가격 결정에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정확한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거래량의 흐름을 살펴보면 수요량과 추세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주로 선 그래프로 표시되는 거래량 데이터는 시장의 현재와 미래 수요 수준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서울 거래량 변동
서울의 평균 거래량은 5,352건이며, 평균 거래량보다 많거나 적음에 따라 빨간색 또는 파란색으로 표시된 거래는 53건입니다.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시점은 2020년 6월로 약 14,700건이 거래되었으며, 2021년에는 급격히 감소했다가 2023년에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거래량은 2006년에 정점을 찍은 후 등락을 거듭하다가 2009년에 눈에 띄게 급증했지만, 최근 몇 년 동안은 대부분 평균을 밑돌고 있어 2014년경부터 부동산 호황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시장에서의 거래량과 수요의 중요성
평균 이하의 거래량은 수요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리스팅이 많을 때 가격이 상승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거래량 증가가 가격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2006년 이전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거래량을 기준으로 향후 시장 추세를 비교하고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주식 분석에서 거래량의 중요성
거래량은 시장의 소비자 활동과 수요 수준을 나타낼 수 있으며, 폭발적인 증가는 구매가 급증했음을 시사합니다.
2006년 이후 간헐적으로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당시 모든 사람이 충분히 매수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정부 정책 발표와 함께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거래량은 주식 시장의 수급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거래량 패턴은 향후 시장 동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 현황
현재 부동산 시장은 높은 공급과 낮은 수요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강세장이라고 느껴지지만 2006년 이후 거래량 데이터를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장기적인 추세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부동산을 주식처럼 보는 것의 위험성을 강조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마나 위험한지 제발 좀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놀라운 싱크로율 (0) | 2024.06.03 |
---|---|
서울 아파트 두 달 연속 거래량 4천 건, 얼어붙었던 '노도강'도 상승..대세 상승 vs 단기 반등? 김기원 대표 (2) | 2024.05.30 |
정부의 계속되는 집값 띄우기! 폭망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결국 모두 가난해질겁니다"ㅣ이현훈 교수 (3부) (1) | 2024.05.27 |
집값 최악의 폭락 '이때부터' 온다, 무주택자 절대 집 사지마세요 (김기원 대표) (0) | 2024.05.16 |
다들 집 못 팔아서 난리...지금 제발 비싸게 사지 마세요 (이광수 대표 3부) (0) | 2024.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