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ar-jyZjNHlI?si=NI3TtVuBCufEhcZF
### 부동산 시장에 대한 CEO의 인사이트
현재 부동산 시장은 소폭 반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하락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전세시장과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등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유동성 감소로 이어지는 주식 시장의 하락세, 환율의 불안정성, 부동산 가격 상승의 수혜를 입은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는 부동산 가격의 잠재적 폭락 위험 등 세 가지 주요 우려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 M2 통화 공급 감소의 중요성
M2 대비 M1 통화 공급량 비율의 감소는 유동성이 크게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시장에 위험한 신호입니다. 이러한 유동성 감소 패턴은 1997년 IMF 위기 및 2008년 금융위기 이전 시기와 유사합니다. 유동성의 급격한 감소는 이전 위기에서 볼 수 있듯이 잠재적으로 시장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시장 유동성 감소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2022년 5월 이후 시장 유동성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IMF 위기 및 부동산 시장 붕괴 이전과 유사한 양상으로 한국에 심각한 경제적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환율은 과거 금융 위기 시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으며, 최근 2022년에도 급등하여 1400원을 초과할 경우 불안정성과 잠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외환 보유고는 2021년 10월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한국의 금리와 미국의 금리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 외환 보유고 감소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외환보유액은 꾸준히 증가해 경제 강국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지난 2년 반 동안 감소해 잠재적 위험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외환보유액 감소는 역사적으로 IMF 또는 금융위기와 관련이 있으며, 감소 추세는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위기가 임박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현재의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잠재적 위험을 피하기 위해 자산 관리와 부동산 투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삼성의 금융 위기와 그 영향
오랫동안 흑자를 내던 삼성이 2023년 법인세를 한 푼도 내지 않아 비상 경영 상황에 처했습니다. 삼성의 위기는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과 국가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의 더 큰 경제 문제를 나타냅니다.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경제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잠재적으로 위험한 금융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의 주의의 중요성
현재 경제 상황은 소상공인과 기업가, 노동자 계층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김기훈 대표는 사업과 투자에 있어 보수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과도한 빚을 지거나 섣부른 투자를 하지 말 것을 경고했습니다. 높은 수준의 부채로 부동산 시장이 과도하게 부풀려지면서 경매 물건이 넘쳐나고 있어 현 상황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발 하락론 그만 보세요! 전문가들은 말하지 않는 부동산 시장의 진실 (박원갑 위원/ 3부) (1) | 2024.06.19 |
---|---|
오르는 게 아니라 오히려 '붕괴'조짐이 보인다...그들이 숨기는 저축은행 경고 신호...하반기 부터 이렇게 됩니다. (0) | 2024.06.12 |
서울 아파트 두 달 연속 거래량 4천 건, 얼어붙었던 '노도강'도 상승..대세 상승 vs 단기 반등? 김기원 대표 (2) | 2024.05.30 |
2006년부터 지금까지 '아파트 전체 거래량'으로 부동산 시장 분석해드립니다. (1) | 2024.05.29 |
정부의 계속되는 집값 띄우기! 폭망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결국 모두 가난해질겁니다"ㅣ이현훈 교수 (3부) (1)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