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근육 지키려고 먹었던 '단백질'의 배신? 단백질을 가장 건강하게 섭취하는 방법은? - 이계호 교수 2편

by 청공아 2024. 4. 16.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lkJVEc0RC8

 

단백질 보충제가 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
단백질 보충제, 특히 대두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신체가 단백질의 약 65%만 흡수하고 나머지 35%는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나중에 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두부나 두유에 사용되는 콩을 발효하면 남은 단백질이 청국장이 되어 장에 부피가 커지면서 소화 문제를 더욱 유발할 수 있습니다.
김치와 된장 같은 한국 발효 식품은 소화가 잘되고 발효 과정에서 유익한 대사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효 식품이 건강과 문화에 미치는 영향
발효 식품은 건강상의 이점으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발효 과정에서 부패와 잠재적인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효 특유의 냄새는 발효 식품의 품질을 나타내며, 향이 좋으면 발효가 잘 되었다는 뜻입니다.
유익균이 풍부한 발효 식품은 장 건강과 소화를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콩 섭취가 한국인의 대장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수입산 및 유전자 변형 콩의 주요 소비국이며, 이로 인해 대장암 발병률이 높습니다.
한국인의 식단에서 콩 단백질에서 동물성 단백질로의 전환은 대장암과 관련이 있으며, 육류 단백질의 과도한 섭취는 대장암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식의 이름을 바꿔 의미를 개선하고 젊은 세대의 콩 단백질 섭취를 장려하자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아마존에서 한국 김치 셀러의 글로벌 성공 사례
40대 한국인 주부가 아마존닷컴에서 백김치 분말을 판매해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성공을 거뒀습니다.
김치를 분말로 만들어 유통 문제를 해결하고 쉐이크, 쿠키, 빵에 분말을 사용하는 연구까지 확장했습니다.
한국 된장과 낫또의 차이점은 좋은 균과 나쁜 균을 처리하는 방식에 있는데, 일본인은 상업적 목적으로 좋은 균만 선별해 사용합니다.

국산 콩 장류의 발효 공정 표준화
'낫또균이'는 좋은 균만을 사용하고 발효 과정을 표준화해 유명해진 제품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청국장과 된장의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아 일본 균주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정부는 발효 과정의 표준화를 통해 한국식 청국장과 간장의 우수성을 알리고 전 세계로 확산시킬 계획입니다.

 

1.헬스 분들에게 발효와 부패의 과학적 차이에 대해 설명
   - 발효와 부패는 동일한 반응이지만, 발효는 유익물질 생산, 부패는 유해 물질 생성.
   - *발효식품* 특징은 소화가 용이하며,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김치*와 *청국장*으로 유명.
   - 콩 단백질은 몸이 소화하기 어렵기에, 대략 65%만 분해되고 나머지는 장에 내려감.

2.발효식품과 건강의 연관
   - 콩단백질 섭취로 유해성이 확인된 발효식품을 소개하며, 유익균 함유한 발효식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발효 음식의 특징으로는 *소화 촉진*과 *건강증진*이 있다. 또한 발효과정에서 부패 방지가 필요하며, 천국 발효 소비 시 냄새 중요성을 강조한다.
   - 우리나라 발효식품은 *건강 회복*을 위한 완벽한 옵션이며, 소화 흡수율 향상과 *장건강 개선*을 위한 유익균 함유가 강조된다.

3.한국에서 콩 소비 패턴과 대장암 연관
   - 한국은 전 세계에서 수입 콩과 유전자 변형 콩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 중 하나로, 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 콩 소비 패턴이 대장암 발생과 연관이 있을 수 있으며, 콩 단백질을 고기 단백질로 대체한 과다 섭취가 문제로 지적됨.
   - 이에 한국에서는 10대, 20대, 30대를 대상으로 고기 단백질을 콩 단백질로 전환하는 노력을 기대하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음.
   - 한국 자체적으로 *식습관과 음식 이름 변경*을 통해 건강한 식습관과 긍정적인 인식을 확립하려는 노력도 기울여질 필요가 있음.

4.한국장과 낫도의 차이, 그리고 국제시장 수요
   - 한국의 *김치분말*을 전세계적으로 홍보하여 큰 관심을 받는다.
   - 한국장은 발효와 부패의 차이를 설명하며, 인기있는 유산균 제품 '낫도'를 언급한다.
   - 낫도는 좋은 균만 선별하여 상용화되었으며, 전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정 받는다.
   - 또한, 김치 유산균이 미국인들에게 장건강 효과를 알리며, 한국장을 다양한 식품으로 활용하여 연구하고 있다.

5.한국장과 청국장 표준화를 위한 공로
   - 한국의 청국장과 한국장은 현재 표준화가 부족한 상태이다.
   - 한국에서 수입한 균주를 사용해야만 그 제품명을 쓸 수 있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 균주를 활용해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정부용령과제를 받아 발효과정을 표준화시켰다.
   - 그 결과를 국내에서 성과를 거둔 후 미국, 유럽 및 세계로 퍼뜨려 우리나라의 된장과 간장을 직접 만드는 법을 알리기 위한 계획 중이다.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