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연금저축:한편으로 끝내는 원자재 ETF투자

by 청공아 2025. 3. 30.
728x90

https://www.youtube.com/watch?v=EOts0RDb1GM

 

이 영상  연금저축 계좌에서 원자재 ETF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원자재 투자의 필요성과 리밸런싱전략을 설명하고, 국내 상장된 ETF들을 활용하여 해외 ETF인 DBC ETF를 유사하게 복제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각 ETF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투자자가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원자재 ETF투자를 위한 정보 습득과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원자재 ETF 투자와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 장기 포트폴리오에는 원자재를 일정 비율 포함해야 하며, 이는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원자재 ETF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 은원자재 가격이 우상향하지 않기 때문이지만,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을 통해 높 은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 한국에서는 통합 원자재 ETF가 부족해 개별 ETF로 투자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해외 ETF와 유사한 효과를 내기 위한 엑셀 작업이 필요하다고 언급된다.

 

2.  인베스코 DBC ETF의 구성과 특징

  • 인베스코의 DBC ETF는 원자재 ETF중에서 PDB, CHF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 DBC ETF는 운영 규모가 큰 PDB와 CHF와 비교해, 운영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세부적인 원자재 항목 구성 확인이 어렵다.

  • DC CHF의 운용 보수는 0.89%로 비교적 높 은편에 속한다.

  • DBC ETF의 세부 항목은 인베스코의 홈페이지에서 공개되며, 항목의 비율이 변동이 있을 수 있다.

  • GBC ETF의 세부 항목은 조정된 결과를 기반으로 투자 비율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원자재 ETF 투자 종류

  • 에너지 분야에서는 WTI 원유, 가솔린, 난방유, 천연가스 등 4가지의 주요 자산이 포함된다.

  • 농산물 분야에서는 옥수수, 설탕, 밀등 3가지 자산이 투자에 사용된다.

  • 산업용 금속으로는 아이언, 구리, 알루미늄이 있으며, 귀금속 분야에서도 금과 은이 포함된다.

  • 국내 ETF에서 가능한 자산들 은DBC의 세부 항목들을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원유 ETF 투자 분석

  • 원유 ETF에는 코덱스 WTI와 타이거 ETF두 종류가 있으며, 각각 4천억1천억의 운용 규모를 가지고 있다.

  • 코덱스 WTI ETF는 운용 보수면에서 0.405%로 타이거 ETF에 비해 유리하며, 6개월 수익률 또한 더 높 은성과를 보인다.

  • 그러나 1년 수익률에서는 두 ETF 간 10%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선물 롤오버 방식과 관련이 있다.

  • 원유는 실물 거래로 인한 보관 비용 문제로 인해 서류상의 선물 거래가 이루어지며, 만기 연장을 반복한다.

  • 삼성자산운용 은 3월물을 롤오버하면서 큰 손실을 확정지었고, 투자자들 수익을 보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5. 농산물 ETF와 가격 비교

  • 유가가 $30으로 하락하는 상황 은 선물 거래역사상 드문 일로, 향후에도 같 은일이 발생할 가능성 은낮다고 추정된다.

  • 코덱스 3대 농산물 선물에서는 설탕이 제외되어 있으며, 타이거 농산물 선물에는 설탕이 포함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0.6%의 가격 차이를 가진다.

  • 설탕가격의 움직임이 다른 농산물과 비슷하다면 비싼 타이거 농산물 선물을 구입할 이 유가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지만, 실제로 설탕과 관련된 가격 그래프는 일관된 패턴을 보이지 않는다.

  • 가격이 낮 은 코덱스 ETF보다 타이거 농산물 선물ETF가 더 유망해 보이며, DBC HF를 모방하는 ETF에 투자할 계획이다.

 

6.  금속 ETF 및 원자재 투자 분석

  • 금속 ETF는 구리, 알루미늄에 투자하며, 국내에서는 이러한 금속에 투자하는 ETF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 DBC ETF는 운영 규모가 34억이며, 하루 거래량 은약 3,000주로 관찰되어, 연금저축외의 거래 시 거래량을 고려해야 한다.

  • 통합 원자재 ETF는 DBC ETF대비 수익률이 3개월 17.28%, 6개월 17.5%, 1년 -43%로 분석되었고, 타이거 ETF로 교체 시 손실 감소가 예상된다.

  • DBC ETF의 수수료는 0.59%이고, 통합 원자재 ETF는 0.5644%로 해외 ETF보다 저렴한 운용 보수를 가진다.

  • 원자재 투자 시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금ETF를 7.5% 포함하고 나머지를 원자재로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