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트폴리오 분석: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은 투자자가 보유한 자산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입니다. 마치 의사가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듯이, 투자자가 어떤 주식, 채권, 펀드 등을 가지고 있...
1. 투자 대가들의 포트폴리오 공개
-
월든 버핏을 포함한 여러 투자 대가들의 2분기 포트폴리오가 공개되어, 투자자들은 이들의 투자 결정을 통해 시장에서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
분석할 투자 대가는 빌 에크먼, 캠피, 레이 달리오, 하워드 막스, 워런 버핏 등 총 다섯 명으로, 각 투자자의 개별 전략과 종목 선택을 살펴볼 예정이다.
2.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 변화 및 투자 전략
-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 자산은 332억 달러에서 280억 달러로 30% 줄어들었으며, 이는 주식 매도에 따른 결과이다.
-
버핏은 보유 종목을 총 48개로 유지하고, 최근에 두 개 종목을 신규 매수하면서 두 개 종목을 매도하였다.
-
애플 주식은 비중이 약 30.5%로 감소하였고, 뱅크 오브 아메리카와 쉐브론도 각각 비중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
이번 분기에는 옥시덴탈과 보험 회사인 CB 처부처보에 추가 매수하였으며, 초단기 채권의 비중도 상승하고 있다.
-
버핏은 경제 위기를 대비하고 있으며, 현금 비중이 25%로 증가한 상태다. 투자 전략은 저평가 종목을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
자산이 332억 달러에서 280억 달러로 줄어 30% 감소했으며, 이는 매도를 통한 결과이다.
-
총 48개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 신규로 두 개의 종목을 추가하고 두 개는 매도하였다.
-
월든 버핏의 주요 5종목은 애플, 뱅크 오브 아메리카, 맥스, 코카콜라, 쉐브론이다.
-
애플의 비중이 절반에서 30.5%로 줄어들었고,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13.5%, 맥스는 12.7% 비중을 차지한다.
-
코카콜라는 99.2%로 유지되며, 쉐브론은 비중이 6.7%로 감소하였다.
-
워런 버핏은 옥시덴탈 주식을 매 분기마다 추가로 매수하며 비중을 2.9% 늘리고, 지속적으로 적립식으로 차곡차곡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다.
-
초단기 채권에 큰 비중을 두고 현금을 늘리고 있는 상태로, 이는 보험 회사 CB의 투자 구조와 맞물려 있다.
-
매도한 종목 중에는 파라마운트와 스노우플레이크가 있으며,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49.3%를 매도했다.
-
애플은 매도 후 주가가 하락하는 가운데도 신속하게 매도결정을 내렸으며, 하반기에 강한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주목해야 한다.
-
투자 판단 시 주가의 움직임만을 고려하지 말고 실적을 확인해야 하며, 단순히 워런 버핏의 매수 행동을 모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
시리우스는 북미 최대의 위성 라디오 방송 회사로, 2018년에 스트리밍 회사 판도라를 인수하여 음악 관련 콘텐츠를 확대했다.
-
사업 모델은 가입자 기반으로 청취자에게 일정 금액을 부과하며, 방송 광고를 통해 매출을 얻고 있다.
-
워런 버핏은 2022년 3분기에 시리우스 주식 970만 주를 매수하였고, 2023년 4분기에도 추가 매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
시리우스는 2016년에 배당금 감소를 겪었으나, 이후 꾸준히 배당금을 증가시켰고, 2022년에는 특별 배당 0.25 달러를 지급하였다.
-
현재 시리우스의 배당률은 3.55%로, 과거 배당금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
워런 버핏이 울타 뷰티와 헤이코 두 개 기업에 새롭게 투자를 시작했으며, 울타 뷰티는 화장품, 향수 등을 판매하는 전문 소매 기업이다.
-
현재 버핏의 투자가 알리자 울타 뷰티의 주가가 13% 급등했지만, 버핏이 매수 후 주가는 이미 더 떨어진 상태이다.
-
버핏은 현재 가장 큰 현금 비중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자산의 25%인 2,760억 달러에 달한다.
-
많은 전문가들이 버핏의 현금 비중 증가를 경제 위기를 준비하고 있다는 신호로 보고 있으며, 장단기 금리의 역전 현상도 그 근거가 된다.
-
또한 후계자인 그레그 에이블을 위한 준비나, 저평가 종목의 부재 역시 현금 비중 증가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3. 레이 달리오의 포트폴리오 변화

-
레이 달리오의 자산은 19.8에서 19.25로 4% 하락했으며, 그가 보유한 종목 수는 814개이다.
-
최근 282개의 종목이 새롭게 편입되었고, 82개는 완전히 매도된 상태이다.
-
가장 큰 비중의 종목은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이번 분기에는 S&P 500을 매수했지만 그 외 종목은 모두 매도했다.
-
신규 매수 종목 중 엑슨 모빌의 비중은 521% 증가하였고, 아마존은 152% 증가했다.
-
매도한 종목 중 애플의 비중을 75% 줄였으며, 스타벅스 또한 30% 매도했다.
4. 나이키와 하워드 막스의 포트폴리오 분석

-
비래크먼은 나이키를 2분기에 매수하기 시작했으며, 실적 발표 후 주가가 폭락했지만 이 상황을 잘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
과거 넷플릭스의 사례에서처럼, 레크 머니는 폭락 시 매수를 했으나 이후 손절을 하는 아쉬운 경험을 했다.
-
하워드 막스의 포트폴리오는 1% 하락했으며, 266개 종목 중 26개가 새로 추가되었고, 4개는 완전히 매도되었다.
-
그의 포트폴리오에는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 ETF가 포함되어 있으며, 최근 추가 매수를 진행했다.
-
하워드 막스는 여전히 증시 하락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2분기 매수 이후 아직 손실 구간에 속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5. 📊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분석

-
국민연금의 자산은 지난 분기 대비 2% 상승했으며, 현재 보유하고 있는 종목 수는 559개이다.
-
국민연금의 상위 5개 종목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으로, 빅테크에 집중하고 있다.
-
이번 분기에는 애플과 PBUS를 일부 매도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은 추가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애플의 일부 매도는 버핏의 영향 때문일 수 있으나, 그 이유는 명확치 않으며 국민연금은 지금까지 성공적인 투자를 해오고 있다.
-
다양한 투자 대가들과 비교할 때, 각기 다른 투자 방식이 존재하며, 국민연금은 꾸준한 적립식 투자를 선호하고 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월 배당 다우존스 ETF 7개 비교 (ft. Kodex미국배당다우존스 출시) (0) | 2025.02.28 |
---|---|
원금은 지키면서 고배당도 받는 배당주 꿀조합을 소개합니다 (0) | 2025.02.28 |
정직하다못해 투명한 ETF 2개 (KODEX 9%리츠, Ace 2조 채권 포트폴리오) (1) | 2025.02.27 |
SCHD 포트가 14년간 절대 무너지지 않는 이유 (1) | 2025.02.27 |
은행예금족 발길돌리는. 6% 배당ETF 한개만 꼽으라면?? 월배당 TIGER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리뷰 (1)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