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 비교
-
미국 배당 다우존스를 따르는 여러 ETF의 최근 업데이트와 수익 비교가 이루어졌다. 현재 타이거 미국 배당 다우존스에 1조 원 이상의 시가총액이 투자되어 있으며, 네 가지 상품 모두 같은 기초 지수를 추종하고 있다.
-
최근 지급된 분배금 현황을 살펴보면, 타이거의 0.33% 지급률이 나타났고, 분배금은 회차마다 다를 수 있으며, 에이스는 배당 기준을 변경한 후 지급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상품들은 월 배당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퇴직 연금이나 생활비 보조를 위한 안정적인 배당을 원할 경우 이러한 상품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2. 미국 월 배당 다우존스 ETF 비교
-
최근에 출시된 상품으로 총 일곱 개의 미국 월 배당 다우존스 ETF 상품이 있으며, 그 중 신규 상품은 기존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
-
새로운 상품의 수수료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커버드 콜 전략을 취하는 프리미엄 상품들의 수수료가 조금 더 높은 편이다.
-
배당 지급일은 매달 영업일 마지막 날로, 최근에 에이스 상품은 매달 15일로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라 분배금을 두 번 수령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
최근 6개월 수익률 비교에서, 타이거 상품의 수익률이 9.67%이며, 에이스 상품은 각각 9.75%, 9.94%로 나타났다.
-
분배금과 차익으로 인한 총 수익에서, 프리미엄 전략을 따르는 상품이 월배당이 높지만, 차익이 낮아져 총 수익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모습이다.
-
올초에 비해 새롭게 출시된 상품이 두 개 더 추가되어 총 일곱 개 상품의 주요 정보가 정리되었다.
-
투자 자금 순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수수료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커버드 콜 전략을 사용하는 프리미엄 상품들이 조금 더 높다.
-
최근 출시된 코덱스 미국 배당 다우존스는 수수료가 소폭 낮아 신규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전략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나머지 ETF 상품들의 수수료는 0.01에서 0.0099로 유지되고 있다.
-
배당 지급일은 매달 영업일 마지막 날로 정해져 있으며, 코덱스 제품은 매달 15일에 지급된다.
-
최근 한 달 수익률은 하락세를 보이지만, 6개월 수익률에서는 타이거 미국 배당 다우존스가 9.67%, 에이스 상품들이 9.75%와 99.94%로 나타났다.
-
1년 수익률에서는 더 큰 차이가 나타나며, 각각 16.88%, 18.15%, 18.36%로 평가된다.
-
프리미엄 전략을 취하는 상품들은 수익률이 7.65%, 5.71%, 8.39%로, 기초 지수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다.
-
투자자의 목표에 따라 월 배당 수익이나 차익으로 인한 수익을 선택할 수 있다.
-
따라서, 양쪽 투자 방식 모두 고려해야 할 요소가 존재한다.
-
2023년 8월 1일 종가 기준으로 100만 원을 투자했을 때, 총 분배금과 차익으로 인한 수익을 계산하였다.
-
계산 시 배당 소득세 및 수수료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에이스 상품의 분배금은 13회분으로 예상하였다.
-
투자한 100만 원으로 살 수 있는 주수를 계산하기 위해 8월 1일과 8월 29일의 종가를 비교하였다.
-
예를 들어, 타이거의 경우 8월 1일 기준으로 97주를 구매할 수 있었고, 8월 29일 종가는 1,850원이어서 차익은 약 15만 원이었다.
-
분배금은 총 4,911원을 기준으로 97주와 곱하여 약 47,000원이 나왔으며, 이를 통해 타이거 배당 다우 존스의 총 수익이 1,199,320원으로 나타났다.
-
분배금이 차감된 후의 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프리미엄 상품들은 월배당이 높아 총 분배금이 많다.
-
분배금으로 인해 총 수익이 12만 원과 7만 9,000원이 발생하며, 이는 미국 배당 다우존스를 기준으로 한 세 상품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
하지만 차익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분배금과 차익 수익을 합산한 총 수익은 적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에 투자하는 주된 목적은 연금을 통한 노후 생활비 확보이다.
-
수익을 중시하여 매도를 통한 차익 실현을 원하는 투자자들은 다우존스를 따르는 상품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투자자의 상황에 따라 프리미엄 전략을 따르는 상품이나 다우존스를 반영한 상품을 고려할 수 있다.
-
투자 여유가 있는 경우, 두 가지 접근 방식을 혼합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3. 미국 배당 ETF의 기초 지수와 기업 구성
-
기조 지수는 미국의 대표적인 배당 ETF인 슈즈의 한국판 ETF로, 배당을 10년간 지속한 상장사 중에서 잉여 현금 흐름, 자기 자본, 자본이익률, 배당 수익률 등이 높은 상위 100개 기업이 선정된다.
-
현재 포함된 주요 기업은 로키드 마틴(4.45%), 코카콜라(4.16%), 텍사스 인스트루먼트(3.93%), 펩시(3.75%), US 뱅크, 킴벌리 클락 등이며, 이들 기업은 각각 1%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이들 기업의 총합 비중은 약 100억 달러로, 기초지수에 따르지만 괴리율에 의한 수익률 차이가 존재한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계좌 투자상품 TOP7 (0) | 2025.02.28 |
---|---|
ISA넣을 5가지 ETF상품 (2) | 2025.02.28 |
원금은 지키면서 고배당도 받는 배당주 꿀조합을 소개합니다 (0) | 2025.02.28 |
위기대비하는 투자대가들의 계좌 공개! (3) | 2025.02.28 |
정직하다못해 투명한 ETF 2개 (KODEX 9%리츠, Ace 2조 채권 포트폴리오) (1)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