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ISA계좌에서 투자해야할 ETF와 투자하면 안되는 ETF가 있다?

by 청공아 2025. 2. 26.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0tn33Tz7PO4&list=PLQS_tbxbhqwzsI5kvqM1OpD9Fy6I5_o81&index=2&pp=gAQBiAQB

 

이 영상은 ISA 계좌를 활용한 ETF 투자 전략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제공합니다. ISA 계좌의 세금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ETF를 선택하고 피해야 하는지를 분석합니다. ISA 계좌에서는 손익 통산이 가능하며, 금융 상품 선택 시 세금 구조와 기대 수익률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국내 주식 ETF보다는 해외 주식 또는 원자재 ETF 세금 혜택 면에서 더 유리함을 강조합니다. 궁극적으로 투자자의 성향에 맞는 금융 상품 선택이 ISA 계좌 투자 성공의 열쇠임을 제시합니다.

1.  ISA 계좌의 장점과 손익 통산

  • ISA 계좌는 200만 원 또는 5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으며, 비과세 한도 초과분에 대해서는 9.9%의 저율 분리 과세가 적용된다.

  • 금융소득 종합 과세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 손익 통산이란 수익과 손실을 합산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ISA 계좌에서는 이 기능이 가능하다.

  • 일반 계좌에서는 수익과 손실 합산이 되지 않아 손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ISA 계좌에서는 손익을 합산하여 세금을 피할 수 있다.

  • 손익 통산 기능은 정부가 다른 계좌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평가되며, ISA 계좌는 이러한 이유로 필수적인 금융 상품으로 인식된다.

 

2.  ISA 계좌에 담을 수 있는 금융 상품과 세금 구조

  • ISA 계좌에서는 예적금, 채권, 주식, 펀드, ETF, 그리고 ELS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금융 상품을 담을 수 있다.

  • 예적금과 국내 채권의 기대 수익률은 각각 3-4%이며, 과세는 15.4%가 적용된다.

  • ELS의 기대 수익률은 4-6%이며,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서도 15.4%의 배당 소득세가 부과된다.

  • 국내 상장 주식의 기대 수익률은 6-8%이고, 비대주주에게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국내 주식형 펀드와 ETF는 동일하게 비과세가 적용된다.

  • 해외 주식형 펀드와 ETF는 기대 수익률이 국내보다 조금 더 높고,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15.4%의 배당 소득세가 부과되지만, 각 금융 소득의 총합이 2천만 원을 초과할 경우 종합 과세 대상이 된다.

 

3.  ISA 계좌에 담지 말아야 할 ETF

 
  • ISA 계좌에서 담아야 할 ETF와 담지 말아야 할 ETF가 있다. 담지 말아야 할 ETF의 예로는 국내 주식형 ETF가 있다.

  • 국내 주식형 ETF를 ISA 계좌에 담는 것은 아까운 한도를 갉아 먹는 문제가 있다.

  • 예를 들어, 코스피 200, 코스닥 200과 같이 국내 산업 관련 ETF는 ISA 계좌에 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일반 계좌에서 운용할 경우, 해당 ETF는 사실상 세금이 없기 때문에 ISA 계좌에 필요하지 않다.

  • 따라서 이러한 ETF를 ISA 계좌에 포함시키지 말라는 의미에서 한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라는 점을 강조한다.

     

4.  투자해야 할 ETF와 피해야 할 ETF

 
  • 해외 주식 및 원자재를 편입한 기초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담아야 하며, 예로는 S&P 500 ETF, 나스닥 100, 석유 ETF, 골드 ETF가 있다. 이는 기대 수익률이 높다.

  • 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가능한 수익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세금이 더 커질 수 있다.

  • 많은 투자자들이 ISA 계좌에서 국내 주식형 ETF를 많이 담고 있다는 사실이 관찰되며, 이들 중 상당수는 비과세를 이유로 담는다고 말한다.

  • 그러나 비과세 때문에 국내 주식형 ETF를 담을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

 

5.  ISA 계좌에서의 ETF 투자 여부

 
  • ISA 계좌에서는 ETF 외에도 펀드, 예적금, ELS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

  • 개인의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 선택이 더 중요하며, 고수익률을 추구하더라도 자신에게 맞지 않는 상품을 선택하면 스트레스와 투자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 ISA 계좌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개인의 투자 성향에 맞는 금융 상품 선택이 필수적이다.

  • 공격적인 투자 성향을 가진 경우, 국내 주식형 자산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해외 주식이나 이를 추종하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