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한국 부동산 진짜 끝났습니다 곧 무서운 일이 벌어진다 (김효선 위원 / 1부)

by 청공아 2025. 5. 7.
반응형

 

https://youtu.be/z3Uyp0AmuKk

 

김효선 위원은 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한국 부동산 시장이 예전처럼 모든 지역이 상승하는 시대는 끝났다고 진단합니다. 특히 지방 부동산은 장기적인 하락세와 함께 환금성문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현재는 강남, 마용성등 일부 지역에만 수요가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정책 변수에 따라 시장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과거에는 지방 부동산도 정책적 요인으로 상승한 사례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지방 개발 호재가 부족하여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결국, 부동산 시장은 안전 자산선호와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부동산 시장 변화와 양극화

  • 최근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지역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서울과 수도권, 그리고 지방 간의 양극화가 두드러지는 상황이다.
  • 인구 감소와 서울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을 때, 일자리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으로 사람들이 옮겨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 금융 규제와 정치적 불확실성 등 다양한 변수들이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입지가 좋은 지역으로의 수요 집중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2. 부동산 시장의 향후 전망

  • 올해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구매력이 낮아 어려운 상황으로 보인다 .
  • 투자 대안이 부족하여 금융과 부동산 모두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
  • 특히, 지방 부동산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으며, 인구 감소와 같은 요인이 문제로 지적된다 .
  • 정치적 변수인 조기 대선이 부동산 거래에 미칠 영향은 주목할 만하며, 결정적인 시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 거래량 감소와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향후 부동산 정책변화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

 

3. 부동산 시장의 변화와 소비자 심리

  •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가 활성화되던 시기에는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거래를 활발하게 진행했던 시점이었다 .
  • 현재는 결정이 신중해졌고, 소비자들은 구체적인 지역이나 단지를 요청하는 상담이 증가하고 있다 .
  • 상담 전문가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지방 부동산이 우선시되던 경향이 있었다
  • 이전에는 지방 소비자들이 서울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적었으나, 지금은 서울 쪽 매수를 희망하는 상담이 늘어나고 있다 .
  •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이 지방 부동산을 처분하고 서울을 타겟으로 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4. 최근 부동산 시장 동향

  • 부동산 시장은 과거처럼 모든 지역에서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확신이 없으나, 여전히 구매를 원하는 잠재적인 수요가 존재한다.
  • 최근의 부동산 열풍은 과거와 달리, 장기 침체를 겪은 후의 구매 열풍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사람들은 급하지 않지만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지역으로의 이전을 고려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 2024년 서울시장은 대부분 지역에서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특히 강남 3구와 마용성이 가장 크게 올랐다.
  •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이 적고, 거래가 지연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5. 세종시와 한국 부동산의 양극화 현상

  • 세종시는 과거 충북의 시골 땅이었으나, 행정 도시로의 위상 변화를 통해 지금은 주택 구매자들에게 거의 유일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
  • 지방의 개발호재 부재로 인해 서울과 수도권 사이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 현상이 10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 .
  • 예전에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시간이 지나면 상승했으나, 현재는 모든 지역이 그렇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 인구 감소및 서울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이 지방 부동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거래량과 가격에 위축을 가져온다 .
  • 지방 부동산은 가격 상승 여부보다, 현금화 가능성과 같은 유동성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