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슈드와 채권을 조합한 안정적인 ETF
-
슈드와 채권을 50대 50으로 조합한 이 ETF는 연금 및 퇴직 연금 계좌에서 특히 추천되며, 장기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성장성을 지니고 있다 .
-
세액 공제혜택이 크고, IRP를 통해 최대 150만 원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장기 투자시 원금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
-
퇴직연금의 경우, 주식 투자 비율은 50% 미만이며,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규정이 있어 안정적인 자산 배분이 가능하다 .
2. 신한 SOL 상품의 특징 및 구성
-
신한 SOL은 미국 배당과 미국 채권의 혼합 상품으로, 약칭은 " 솔미"이다 .
-
이 상품은 주식의 50% 미만과 채권의 50%를 추구하지만, 실제 포트폴리오는 50대 50으로 운영된다 .
-
기초 지수는 미국 배당 다우존스에 해당하는 SCHD와 KRX 미국채 10년 지수를 바탕으로 한다 .
-
상장일은 2025년 9월 24일로, 약 6개월 동안 2,500억 원을 유치하였으며, 이는 상당히 어려운 성과로 평가된다 .
-
매월 3.5%에서 4%의 배당금을 지급하여, 주가 안정성과 배당 수익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
3. SCHD 포트폴리오 개요 및 채권 투자 분석
-
코노코 필립스와 같은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 후 최근 다시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SCHD 포트폴리오에서 에너지 관련 주식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
SCHD의 포트폴리오에는 약 49%가 채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34년 만기의 미국 채권(T)가 포함되어 있다 .
-
현재 금리는 약 4% 초반으로, 이는 만기가 긴 채권의 변동성을 반영한다 .
-
배당 수익률은 3.6%이며, 채권으로 인한 추가적인 수익을 통해 4%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
TLH와 같은 10~20년 만기채권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가격 탄력성이 비교적 낮고 안정성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
4. 듀레이션과 투자 선택지의 특성
-
듀레이션은 만기로 결정되며, 만기가 길어질수록 금리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장기채는 가격 변동이 크다는 속성을 가진다.
-
단기체는 듀레이션이 짧아 가격 변동이 거의 없고, 반면 10년 이상 장기채는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시 금리 인하에 따른 상승 가능성이 크다.
-
솔미미 ETF는 안정적인 조합으로, 미국 배당주와 채권이 포함되어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선택지다.
-
빅테크 투자 조합은 공격적인 전략으로, 주요 기업들에 대한 비중을 두어 공격적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
SP 500 혼합형 투자는 안정성과 균형 잡힌 투자 방법을 제공하며, 30%를 SP에 투자하고 4.8%를 단기체에 배분한다.
5. 성과 비교 및 투자 전략
-
상장 이후 연간 등가로 16.87의 성과를 내며, 솔미와 빅테크채권 혼합은 거의 비슷한 성과를 보인다 .
-
채권 혼합형은 안정적으로 성과를 유지하며, 채권 금리가 높기 때문에 시장 변동성에 관계없이 플러스인 경향이 있다 .
-
솔미는 배당 성장 및 극대화된 시장 방어력이 있으며, 장기 투자시 손실이 미미하여 유리하다고 평가된다 .
-
빅테크는 시장 변동성을 크게 반영하면서도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
투자 시 자산의 규모에 따라 전략을 선택해야 하며, 시드가 작으면 빅테크를 추천하고, 중간 정도면 채권 혼합형이 적합할 수 있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락장이 두렵다면 준비해야할 고배당 우량주 (2) | 2025.04.07 |
---|---|
하락장에 다시 보는 반토막 대비 메뉴얼 (1) | 2025.04.07 |
구글의 반격! Deep Research 무료화, 챗GPT의 기능들까지..? (2) | 2025.04.07 |
주식 '이렇게' 매수하면 큰 수익이 됩니다 | 마크 미너비니 초수익모멘텀투자 (0) | 2025.04.07 |
경제위기가 오기 전 '이 자산을' 꼭 사야 합니다 (박종훈 기자)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