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수익 모멘텀 투자 : 이것은 **주식 투자 전략** 중 하나입니다. '모멘텀'은 주가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을 의미하며, '초수익'은 **평균 이상의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는 뜻입니다. 즉, 초수익 모멘텀 투자는 **강한 상승 추세를 보이는 주식을 빠르게 포착**하여 높은 수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초수익 모멘텀 투자 방법

-
마크 미너비니 등 4명의 슈퍼 트레이더들이 기술적 분석을 통해 안정적 가격 움직임과 변동성 축소를 기반으로 주식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주식은 강한 추세와 변동성이 축소된 후 매물 소화 과정을 통해 거래량 감소가 동반될 때 매수 가능성이 높아진다.
-
펀더멘탈이 약해도 차트가 긍정적인 경우 매수할 수 있으며, 특히 바이오주는 실적이 없어도 가격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2. 거래 기법과 보조 지표 활용
-
초보자는 기본에 충실한 후 보조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미너비니는 보조 지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다 .
-
가격, 거래량, 펀더멘털 지표(순이익, 매출, 이익률 등)가 주요 분석 도구로 언급되며, 개인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
라이언은 스토케스틱과 MACD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지만, 주로 가격과 거래량에 의존하며, 교차 검증을 통해 보조 사용한다고 강조한다 .
-
민업인은 돌파 매수와 눌림목 매수를 주로 거래 기회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며, 눌림목 매수는 거래 환경에서 효과적이라는 설명이 있다 .
-
돌파 매매에 관해 주식이 이전의 가격대를 넘어설 때를 정의하며, 거래량의 급증과 함께 돌파를 확인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시된다 .
3. 돌파 눌림목 매수 기법의 개요

-
트레이더들은 돌파 눌림목 거래를 기본으로 하며, 이에 따라 미너비니 돌파와 눌림목 매수 기법을 변형하여 6개에서 8개 패턴을 사용한다 .
-
변동성 축소 패턴(VCP)은 상승하는 주식이 저항을 만나 일정 기간 횡보하며 거래량이 줄어드는 2-6 구간을 형성하는 패턴이다 .
-
주가가 그 선을 뚫고 움직이면 매수해야 하며, 신고점 형성 전에 단단한 가격 패턴이 필요하다 .
-
눌림목 매수 기법은 더 복잡하지만, 주도주로 멀리 갈 수 있는 진입점이 된다 .
-
컵 위드 핸들 패턴은 매물이 소화되고 돌파를 통해 매수 타점이 되는 패턴으로, 전설적인 트레이더들의 선호 패턴으로 알려져 있다 .
-
돌파 눌림목 거래를 기본적으로 채택하며, 미너비니 돌파와 눌림목 매수 기법을 변형하여 총 6개에서 8개의 패턴을 사용한다.
-
변동성 축소 패턴(VCP)은 상승하는 주식이 저항을 만나 가격이 횡보하며 거래량이 줄어드는 두 개에서 여섯 개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
플랫 채널과 하강 채널을 자주 활용하며, 하강 채널 상단을 돌파할 때 매수 종료점을 설정하나 진정한 상승세를 타기 전에 흔들림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
컵 위드 핸들 패턴은 매물을 소화하고 돌파할 때 매수하는 신호로, 제시 리버모어와 윌리엄 오니얼도 선호하는 방식이다.
-
다양한 추가 패턴으로 상승 깃발형, 하락 쇠기형, 강쇠 페넌트형 등이 사용되며, 조정 구간에서 4-5개의 특정 기술적 패턴을 기준으로 트레이딩이 이루어진다.
-
슈퍼 트레이더들은 매수를 할 때 크게 돌파, 눌림목, 신고가의 세 가지 매수 기법을 사용한다.
-
미너비니는 최소 저항선을 찾고, 매물이 제한적이며 수요가 크면 폭발적인 상승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
포스코 DX 사례에서 최소 저항선 돌파 후 두 달 만에 250% 급등한 결과가 확인된다.
-
라이언은 고점 인근에서 돌파 매수를 하고, 신고점 인근 횡보 구간의 상위 90-95% 가격대에서 매수한다고 한다.
-
벤 쟁거는 사상 최고가를 돌파하는 형태의 매매를 선호하며, 성공 확률은 50%로 손절과 수익을 비율로 관리한다.
-
민업인은 변곡점을 돌파할 때 매수에 들어가며, 일반적으로 매수 가격은 돌파 가격보다 2~30센트 높은 편이다.
-
라이언 주식이 돌파하는 가격보다 1센트 비싸게 매수하고, 장중에 소량 매수 후 나머지는 종가를 기다려 매수한다.
-
만약 베이스가 완벽히 형성되고 거래량이 많다면 장중에 매수할 수 있다.
-
종가를 기다리면 주식이 높은 가격으로 올라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격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돌파 가격보다 10~20센트 높은 가격대에서 매수한다.
-
거래량이 충분하고 시장이 활발하면 추가 매수에 나선다.
-
베이스가 실패할 경우가 많아 큰 규모의 거래는 위험하므로, 포지션을 작게 가져가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
각각의 시장과 주식의 구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상의 거래 시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초고수들은 거래 기회가 없을 때 2개월에서 6개월 동안 기다릴 수 있는 인내를 보이며, 이는 성공적인 투자에 필수적이다.
-
데이비드 라이언을 제외한 대부분의 트레이더는 장중 매매를 선호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매매 타이밍을 확보한다.
-
또한, 된 쟁거는 종가 매수 시 타이밍이 늦어질 수 있음을 언급했으며, 이는 중요한 매매 전략의 차이를 반영한다.
-
눌림목 매매를 할 때, 공통적으로 매수를 하되, 상승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매매의 기준점으로는 2평선 외에도 MACD, 스토케스틱 같은 보조지표가 사용된다.
4. 매수와 매도 전략에 대한 고수들의 접근법
-
미너비니는 20일 또는 50일 이동 평균선의 견고한 돌파 후, 두 번째로 이동 평균선에 후퇴할 때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
-
갭 상승 종목을 잘 매수하지 않지만, 실적 서프라이즈로 인한 갭 상승의 경우에는 진입하는 경향이 있다 .
-
갭 상승 당일에 고점 돌파 여부를 확인한 후, 며칠간 돌파하지 못하면 베이스 생성을 기다리는 전략을 취한다 .
-
모든 트레이더가 원칙적으로 분할 매수를 하며, 주가 상승을 확인한 후 잔여 금액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
-
감정적 거래를 피하기 위해 유동성 관리가 중요한 만큼, 대규모 거래 시 분할 매매가 전형적인 방식으로 채택된다 .
5. 투자 재진입 전략과 원칙
-
초보자는 손실이 난 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을 주저하지만, 프로는 손절을 일찍 하여 실패한 경우에도 재진입 가능성을 고려한다.
-
재진입 시점은 시장 회복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예를 들어 며칠 내에 회복 가능성이 있거나 베이스가 복원된 때에 이루어진다.
-
변동성이 큰 종목은 접근에 신중해야 하며, 강제 종료된 종목은 즉시 재진입하기 보다 며칠 기다렸다가 상황을 재평가 해야 한다.
-
기본 원칙으로 손절된 종목도 추적하여 재진입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차트 분석과 거래량 확인은 필수적이며, 특히 바이오주에서는 차트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 SOL에서 제일 좋은 SCHD 조합 ETF (연금, 퇴직연금 계좌추천) (1) | 2025.04.07 |
---|---|
구글의 반격! Deep Research 무료화, 챗GPT의 기능들까지..? (2) | 2025.04.07 |
경제위기가 오기 전 '이 자산을' 꼭 사야 합니다 (박종훈 기자) (0) | 2025.04.07 |
일론머스크도 못참는다& 반트럼프 세력증가. 나스닥폭락리뷰 (3) | 2025.04.07 |
"일본이 변하고 있다?" 한국에겐 기회일 수 있어요 [박정호 교수 3부] (5)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