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미국배당 다우존스 3월 배당금 및 배당성장률 l 종목이 아닌 나를 의심하자 l 중요한건 종목이 아니라 l 난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사람일까?

by 청공아 2025. 4. 1.
728x90

https://youtu.be/9b4oKuNuNxQ

 

이 영상은 미국 배당 다우존스 투자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투자자들이 종목 선택보다 장기 투자를 위한 자신의 준비 상태를 점검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3월 배당금 및 배당 성장률데이터를 분석하며, SCHD와 한국판 SCHD인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들의 배당 성장을 비교합니다. 또한, 투자자들이 시장의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투자할 수 있도록 개인의 투자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합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종목 자체가 아니라 투자자 스스로의 장기 투자 능력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미국 배당 다우존스  :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회사들 중에서 **배당금을 꾸준히 많이 주는 회사**들을 모아 놓은 지수를 말합니다. 마치 '배당금 부자 클럽'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1.  2023년 3월 미국 배당금 현황

  • 2023년 3월 많은 미국 배당 종목들이 투자자들에게 다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배당금 공시 및 배당 성장률확인이 원인이다.

  • 다양한 종목들의 배당금과 그에 따른 월 배당률이 공개되었으며, 타이거, 소울, 에이스 등은 각각 0.31%에서 0.35%의 월 배당률을 기록하였다.

  • 특히 미국 배당 커버드콜 ETF종목들도 배당금과 함께 배당률이 발표되었으며, 탐당 시리즈가 상위 배당률을 기록하였다.

 

2.  SCHD와 미국 배당 다우존스의 배당 성장률 분석

  • SCHD는 1분기에 0.248불의 배당금을 공시하였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16% 성장한 수치이다.

  • 지난 4년간 SCHD의 1분기 배당 성장률은 주로 2%대에 그쳤으나, 2023년의 15% 성장률은 다른 해들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다.

  • 한국판 SCHD에 해당하는 미국 배당 다우존스종목들의 배당 성장률에서는 타이거가 43%, 솔이 58%, 솔치가 36%의 성장을 기록했다.

  • 에이스의 경우, 배당 기준일이 변경되어 정확한 비교가 어렵지만, 4.5%의 배당 성장을 보였다.

  • 환율의 영향으로 SCHD의 성장률과 비슷한 수준의 성장률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적정 배당 성장률은 솔지와 유사한 수치일 것으로 생각된다.

 

3.  커버드 콜 종목의 배당 성장률 분석

  • 탐당 1호는 전년 56원에서 올해 70원으로 25% 배당이 성장한 것이다.

  • 탐당 2호는 88원에서 96원으로 9%, 코미커는 65원에서 97원으로 49% 배당이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1분기 커버드 콜 종목들에서는 탐당 1호가 168원에서 196원으로 약 17%, 탐당 2호는 264원에서 288원으로 9%, 호미컨은 173원에서 294원으로 약 70% 배당이 성장한 것이다.

  • 커버드 콜 종목들의 배당금은 옵션 프리미엄에 따라 변동성이 있지만, 투자자들은 배당금의 성장을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아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4.  배당 성장률과 투자 성과

  • 24년 1분기는 배당 성장이 2%대로 매우 낮았으며, 반면 25년 1분기는 높은 배당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 배당 성장률이 시간에 따라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솔의 경우 2년 전에 비해 45% 성장했다.

  • 23년부터 꾸준히 매수해 온 투자자들은 현재 월 배당률이 3%보다 월등히 높을 것으로 보인다.

  • 솔은 작년 기준 3.39%의 연 배당률을 기록했으며, 개인 평단가는 4.3%로 나타났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단가기준 배당률이 증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배당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5.  시장 상황과 장기 투자 원칙

  • S&P 500은 25년 연간 기준으로 5% 하락 중이며, 나스닥은 8%, 반도체는 12% 이상 하락하고 있다.

  • 바클레이스는 S&P 500의 연말 목표치를 6,600에서 5,900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더 비관적인 전망에서는 4,400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 새로운 M7 종목으로는 FVB, 존슨 앤 존슨, 엑손 모빌, 코카콜라 등이 있으며, 이들 종목을 포함한 SCHD와 같은 ETF에 많은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 장기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특정 종목의 선택이 아니라 자신이 얼마나 많이 투자할 수 있는지와 얼마나 오랫동안 투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준비이다.

  • 따라서 개인의 소득을 늘리며, 장기 투자를 위한 준비 상태를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