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폭락장에도 끄떡없는 현존 최강 효율 ETF

by 청공아 2025. 3. 27.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mRWAjIIMSS0&list=PLQS_tbxbhqwzsI5kvqM1OpD9Fy6I5_o81&index=2&pp=gAQBiAQB

 

이 영상은 폭락장에도 끄떡없는 헬스케어 섹터에 투자하는 ETF, XLV에 대해 소개합니다. XLV는 S&P 500보다 역사적으로 초과 성과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매우 높은 ETF입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의 수혜를 받는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하며, 은퇴 후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설명합니다. 변동성이 적으면서도 시장 대비 초과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ETF로, 자산 배분전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투자자를 위해 코덱스 미국 SNP 500 헬스케어 ETF를 소개합니다.

1.  ETF 시장의 빠른 성장과 성과 분석

 
  • 최근 투자 흐름은 개별 종목이 아닌 ETF시장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전 세계 ETF규모는 2경 원을 넘고 있으며, 국내 ETF시장은 2022년 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하였다.

  • 다양한 ETF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지수 추종 ETF인 SPY와 VOO, 배당형 ETF인 SCHD 및 JEPI, 그리고 산업 섹터형 ETF도 존재한다.

  • 섹터 ETF의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헬스케어 섹터만이 SPY를 초과 성과를 내며, 하락 폭은 IT 섹터가 가장 컸고, 필수 소비재와 헬스케어, 유틸리티가 방어력이 좋았다.

 

2.  헬스케어 섹터 ETF XLV의 성과와 안정성

 
  • XLV는 헬스케어 섹터를 추종하는 ETF로, 역사가 깊고 순자산 규모가 적지 않다.

  • XLV의 비용은 QQQ나 SPY보다 낮으며, 섹터형 ETF 중 매우 저렴한 수준이다.

  • XLV와 유사한 ETF인 VHT와 비교할 때, XLV는 덜 분산된 62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고, 성과에서 우세하다.

  • XLV는 지난 10년간 S&P 500을 초과하는 연평균 수익률과 우수한 MDD(-35.53%)를 기록해 방어력이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 역사적으로 XLV는 시장 지수인 S&P 500을 초과하는 성과를 달성했으며, 안정성이 매우 높다.

 

3.  현존 최강 효율 ETF의 현황 분석

 
  • S&P 500 지수는 최근 변동성이 커지면서 고전하는 반면, 헬스케어 섹터는 아주 잘 나가고 있는 상태이다.

  • 현재 주식 시장은 피크를 찍고 하락세로 접어드는 세 번째 칸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 섹터로는 소재, 필수 소비재, 헬스케어, 에너지가 있다.

  • 해당 ETF의 배당률은 1.54%로 높지 않지만, 5년 배당 성장률은 11%에 달하여 안정적인 배당 지급 이력을 보인다.

  • 2000년 이후의 배당 성장률은 연평균 15.76%로, 배당 성장 ETF중에서 가장 우수한 수치로 평가받고 있다.

  • 헬스케어 섹터는 전통적인 가치주로 인식될 수 있지만, 고령화 사회를 반영하여 성장주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4.  고령화와 안정적인 ETF 투자 전략

 
  • 미국의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여러 초거대 기업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추세이다.

  • 특히 일라이 릴리, 애비, 존슨 앤 존슨, 머크와 같은 제약 회사들은 신약 개발을 통해 고령화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워렌 버핏의 투자 원칙인 "절대 돈을 잃지 말라"는 변동성이 적은 자산에 투자하라는 조언으로 해석된다.

  • 특정 ETF는 역사적으로 MDD(최대 손실폭)가 낮아, VOO나 SCHD보다 훌륭한 방어력을 보인다.

  • 변동성의 중요성은 은퇴 후 더욱 부각되며, SCHD와 같은 ETF는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에게 안정감을 준다.

 

5.  헬스케어 섹터를 추종하는 ETF XLV

 
  • 국내 ETF버전인 코덱스 미국 S&P 500 헬스케어가 있으며, 이 종목은 S&P 500과 나스닥과 무관하게 상승하고 있다.

  • 은퇴 후 최적의 ETF로 헬스케어 섹터를 추종하는 XLV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