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코스피 위클리 커버드콜 투자를 추천하는 이유는?
코스피 위클리 커버드콜은 현재 17% 이상의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며, 하방이 일부 막혀 있고 비과세 혜택이 있어 금융소득종합과세자에게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코스피 위클리 커버드콜의 특징은?
- 목표 수익률을 정해 놓고 옵션 프리미엄 수준에 따라 옵션 매도 비중을 조절합니다.
- 주식을 60% 매수하고 옵션 매도를 비율적으로 정하여 17% 수익률을 목표로 합니다.
- ATM 옵션 매도로 프리미엄이 높지만, 급등 시 상승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은 코스피 5000 시대에 대한 섣부른 기대감을 경계하며,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으로 커버드 콜 etf를 소개합니다. 특히, 맥타겟 위클리 커버드 콜 etf를 분석하며, 높은 배당률(17% 이상)과 비과세 혜택을 강조합니다. atm 옵션 매도의 특징과 타겟 커버드 콜 전략을 설명하며, 상법 개정안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합니다. 자사주 소각 문제와 재벌 해체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투자 결정 시 신중한 접근을 당부합니다. 결국 이 영상은 코스피 상승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보다는, 위험을 관리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1. 코스피에 대한 신중한 접근 필요성
- 코스피가 3천선을 바라보는 상황에서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 커버드 콜 상품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추천하며, 이는 상승장에서도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 코스피에 투자할 여력이 있는 30세 이상의 세대는 대안으로서 코스피를 고려할 수 있으며, 달러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2. 코스피 시장과 배당 투자 전략

- 현재 코스피 시장은 주도주 없이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상법 개정안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
- 배당수익률이 17% 이상인 커버드 콜이 존재하며, 이는 코스피 투자 시 하방 리스크를 일부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국내에서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커버드 콜 ETF가 있어, 종합과세자의 경우 높은 세율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 한 달 안에 코스피의 주가는 약 12% 상승했으며, 현재 배당수익률은 거의 17% 페이스에 도달하였다 .
- 목표 수익률이 15%인 타겟 위클리 커버드 콜은 시장 상황에 따라 옵션을 조정함으로써 수익률을 유지하는 전략을 갖고 있다 .
3. ATM 옵션 매도의 특징과 수익률

- ATM 옵션 매도는 프리미엄을 많이 받지만, 이후 상승폭은 제한되는 특징이 있다.
- OTM 옵션은 프리미엄이 작아 매일매일 매도하는 이유는 상승폭을 최대한 추구하기 위함이다.
- 프로그램의 매도 비중은 시장 상황에 따라 조절되며, 프리미엄 수준에 따라 변동한다.
- 연간 15% 정도의 수익률을 목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월 1.5%의 프리미엄 수취가 가능하다.
- 프리미엄 수준이 낮을 경우, 옵션 매도 비중이 높아져 가격 상승의 수익폭이 제한될 수 있다.
4. 코스피의 투자 위험과 커버드 콜의 특징

- 코스피의 투자에는 원금 손실 위험이 있으며, 커버드 콜은 하방 방어력을 제공하지만 상방에서의 이익은 제한된다.
- 거래 상대방 위험은 없으나, 콜옵션 매도의 손실은 이론적으로 무한대일 수 있다.
- 코스피 200과 관련된 옵션 매도는 기초 자산이 동일하기 때문에, 위험 요소가 줄어드는 측면이 있다.
- 고정 커버드 콜은 배당의 연속성과 꾸준함을 보장하지만, 상승 폭에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따라서, 하방에서의 방어는 잘 되어있으나 상승시에는 전략상 아쉬움이 있을 수 있다.
5. 한국 주식 시장의 현황과 상법 개정의 영향

- 미국 주식은 연평 상승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한국의 주도 섹터는 불확실하다. 특히 IT와 관련된 기업들은 성장이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 한국의 주식 시장이 상승한 이유로는 상법 개정이 있지만, 이를 통해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 상법 개정의 주요 내용은 이사 충실 의무 확대와 주주 권리 강화가 포함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 큰 효과는 의심스럽다고 언급한다.
- 소액 주주의 영향력을 높여줄 수 있는 집중 투표제가 도입되지만, 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작용의 한계도 존재한다.
- 특히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은 증권 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중요한 사안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6. 자사주 소각과 주주 가치 제고의 필요성

- 자사주 소각이란 기업이 자사주를 삭제하여 주주 가치를 제고하는 방안으로, 이는 특정 주주 지분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
- 많은 기업들이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이들 주식은 회사에 우호적인 지분으로 간주된다 .
- 자사주를 소각하면 대주주와 일반 주주 간의 권리 관계에 변화가 생겨, 개인 주주들이 소송권을 보유하게 되어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
- 앞으로 코스피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보다는 이익을 보장하는 다른 투자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
- 코스피가 5천 포인트에 도달한다면, 다른 지표(SP)는 약 만 원을 기록할 가능성이 가정된다 .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 4%인데도 SCHD를 5000주 모은 이유 (2) | 2025.06.18 |
---|---|
퇴직연금 IRP 안전자산은 이 ETF 하나로 고민 끝납니다. (1) | 2025.06.18 |
테슬라 레버리지 TSLL 매수타이밍 공식 (3) | 2025.06.18 |
하루라도 빨리 연10% 월배당 S&P500 ETF 시작하세요. (0) | 2025.06.18 |
결국 SOXL이 돈복사기가 되었습니다. 이제부터 50% 더 먹기위해서는 꼭 필요한게 있는데요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