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차라리 외식을 하겠다 블루오션에서 적자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밀키트의 몰락'

by 청공아 2025. 5. 13.
반응형

 

https://youtu.be/xKL7SOXcZO8

 

한때 블루오션이었던 밀키트 시장의 몰락에 대해 분석하는 영상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성장했지만, 엔데믹 이후 성장세가 둔화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가격 경쟁력 약화, 외식 수요 증가, 그리고 쓰레기 문제 등이 꼽힙니다. 밀키트는 hmr(가정 간편식)보다 비싸고, 외식보다 만족도가 떨어지는 애매한 포지션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미국 시장의 사례처럼,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킨다면 재도약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밀키트는 손질된 식재료와 양념, 조리법이 함께 들어있는 제품이에요. 마치 레고 블록처럼, 설명서만 따라 하면 **쉽게 요리**를 완성할 수 있죠. 하지만 모든 재료가 준비된 만큼, 일반 식재료를 사는 것보다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요.

 

1. 밀키트 시장의 성장 및 위기

  • 2018년 당시 345억 원 규모이던 밀키트 시장은 2023년 기준 3,800억 원으로 급성장하였다 .
  • 팬데믹 종료 후 밀키트 시장의 성장세는 둔화되었고, 주요 업체들의 사업 재편과 중소 기업들의 도산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
  • 국내 1위 밀키트 기업으로 알려진 프레시지는 2016년에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시장 점유율 60%를 차지하고 있지만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
  • 밀키트는 낮은 진입 장벽으로 cj 제일제당과 gs 리테일 등 대기업들도 브랜드를 론칭했으나, 2022년 이후 성장세 둔화로 인해 사업을 종료하거나 전담 팀을 해체하였다 .
  • 시장의 규모가 유지되거나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에서 팀을 해체하거나 브랜드 운영을 종료하는 것은 밀키트 시장의 하락 가능성을 시사한다 .

 

2. 밀키트 시장의 둔화 원인

  • 밀키트 시장의 성장이 둔화된 가장 큰 원인은 가격 문제이다 .
  • 2024년 실시된 설문 조사에서 소비자들이 밀키트 구매를 줄인 이유로 비싸서가 1위를 차지했으며, 가격 불만족이 개선 사항 중 3위를 기록하였다 .
  • 밀키트는 손질된 재료가 제공되어 편리하지만, 가격이 비싸서 사 먹는 것과 비교할 때 메리트가 부족하다
  • 밀키트의 가격이 높은 이유는 신선식 재료가 개별 포장되어 판매되기 때문이며, 대량 생산되는 HMR보다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 .
  • HMR과 비교할 때, 밀키트는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조리 과정이 더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퀄리티는 높아 요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소비자도 제대로 요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3. 밀키트 시장의 위기 원인

  • 코로나19 이후 외식 수요가 급증하면서 밀키트 시장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
  • 팬데믹 동안 밀키트는 외식 제한으로 인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요리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다 .
  • 그러나 2023년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함께 외식을 대체할 필요성이 줄어들어 밀키트의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
  • 밀키트는 유통 기한이 짧고 비싼 가격 문제로 인해 재고 부담이 크며, 판매 예측 실패 시 폐기 손실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
  • 결국, 밀키트 업체들은 리스크가 큰 새로운 메뉴 개발을 꺼리게 되고, 소비자들은 유사한 메뉴에 대한 필요감을 느끼지 않게 되는 상황이다 .

 

4. 소비자가 밀키트를 구매하지 않는 이유

  • 소비자들이 밀키트를 경험하고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면 재구매를 할 가능성이 있지만, 쓰레기 발생 문제로 인해 구매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 .
  • 소비자들이 밀키트 구매를 줄이는 주된 이유는 가격과 함께 영양 성분 부족과도한 포장으로 인한 쓰레기 증가가 있다 .
  • 편리함이 중요한데, 배달 음식의 경우에도 쓰레기 문제로 인해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가 많고, 요리를 해서 남는 쓰레기에 대한 부담도 존재한다 .
  • 밀키트는 요리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를 위한 제품으로, 요리를 잘하지 못하는 과도기적인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지만 가격이나 맛의 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 .
  • 현재 한국에서 밀키트는 가격, 맛, 구성 등에서 애매한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체할 수 있는 완전 조리된 식사가 더 저렴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위협을 받고 있다 .

 

5. 밀키트 시장의 현재 상황

  • 밀키트 시장은 완전히 망한 상황은 아니나 성장이 둔화되고 전망이 좋지 않다는 사실이 있다.
  • 여전히 수요층이 존재하며, 소비자들이 느끼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면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다.
  • 미국의 밀키트 시장 상황은 한국에 비해 나쁘지 않으며, 성장이 침체되었으나 전망이 더 나은 것으로 보인다.
  • 미국은 배달 문화가 덜 발달하고 장을 보기 위해 멀리 나가야 하는 점 등 환경적 차이로 인해 한국과 다르다.
  • 한국은 밀키트의 단점 외에도 다양한 편리한 대체제가 많은 점이 시장에 더 큰 어려움을 주는 요인으로 인식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