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100년 전에도 미국은 관세 때문에 망했다 S&P500 절대 안됩니다. 지금은 현금 싹 다 여기로 옮기세요 김경록 고문

by 청공아 2025. 4. 23.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김경록 고문은 현재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한 과도한 쏠림 현상을 경계하며, 투자 전략의 전술적 변화를 강조합니다. s&p500과대평가되어 있고 환율변동까지 고려하면 불리할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현금 비중을 늘리고 투자 대상을 다변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특히, 한국 주식 시장의 저평가된 기업, 중국의 하이테크 및 바이오 기업, 인도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며 아시아 시장으로의 분산을 권장합니다. 워렌 버핏현금 보유량증가를 언급하며,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현금 확보가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노후 준비를 위해 매달 50만원씩 투자한다면, 국내외 주식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입니다. 이 영상은 글로벌 자산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균형 잡힌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미국 중심의 투자 쏠림과 변화의 필요성

  •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해외 투자에서 약 90% 이상을 미국에 집중하고 있어, 미국에 과도하게 쏠린 상황이다 .
  • s&p500과대평가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환율까지 고려하면 달러로 비싸게 사는 경우가 많아 양방으로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
  • 이러한 불리한 상황에서는 전술적으로 변화를 가져와야 하며, 다른 곳에서도 기회를 찾아야 할 때이다 .
  • 이를 위해, 현금 비중을 높이고 다른 시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 특히, 현재 우리나라 주식이 상대적으로 괜찮은 투자처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

 

2. 투자 전략과 현금 보유의 중요성

  • 올해는 고점 대비 20% 정도 하락한 주식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기회로, 30% 하락 시 우량주 매수 시점으로 볼 수 있다.
  • 한국 기업의 저평가 대응 가능성을 고려할 때, 하반기에는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과 인도의 하이테크바이오 기업들이 인구 성장과 경제 발전으로 유망하므로, 이들 섹터에 투자 분산이 필요하다.
  • 워렌 버핏버크셔 해서웨이가 이번 위기에도 자산을 늘리고 있는 등,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현금 보유가 중요하다고 주장된다.
  • 미국 주식 시장이 크게 하락할 경우, S&P 500의 적정한 매수 시점을 고려해야 하며 장기 전략 외에 다양한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채권 투자와 리츠의 가능성 분석

  • 무역전쟁과 글로벌 분산 투자필요성이 강조되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포트폴리오비중을 높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
  • 국내 채권은 큰 상승이 없을 것으로 보이며, 해외 채권 투자환율리스크가 존재한다 .
  • 20~30년 만기 미국 국채에 대한 투자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의존해 구매하고 있지만, 시장의 실제 상황을 반영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 .
  • 해외 채권 투자는 단순한 금리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환위험에 노출될 위험이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
  • 현재 상황에서 리츠(REITs)는 미국에 비해 금리 상승의 영향을 덜 받으며, 계약 기간이 짧아 안정적인 투자처로 보인다 .

 

4. 노후 준비를 위한 주식 투자 전략

  • 평균 퇴직 연령이 49.3세로 낮아지고 있으며, 노후 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
  • 매달 50만 원의 여윳돈을 적립할 수 있다면, 주식 투자가 가장 바람직하다 .
  • 주식을 구매할 때, 국내 주식에만 집중하기보다는 미국, 인도, 중국 등으로 분산 투자하는 것이 좋다 .
  • 적립식으로 투자하면 앞으로 10년에서 15년 동안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