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혼자만 알고싶은 S&P500 ETF 매수원칙 공개

by 청공아 2025. 4. 3.
반응형

https://youtu.be/NlwwoOfYsDM

 

이 영상은 S&P500 ETF 매수 원칙을 공개하며, 특히 표준 편차를 활용한 매매법을 소개합니다. 핵심은 -1.5%를 기준으로 삼아, 주가가 표준 편차 범위에서 벗어날 때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장기 투자 관점에서 지수 투자의 장점을 강조하며, 개별 종목 투자의 어려움과 비교합니다. 변동성이 커진 시장에서 합리적인 매수 시점을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잃지 않는 투자를 지향합니다. 결국, 본업에 집중하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입니다.
 

 

1.  S&P500 ETF 장기 투자 원칙

  • 미국 주식 시장에서 장기 투자의 이점은 높은 수익률로 나타나며, 예를 들어 SCHD는 연간 수익률이 19%, 13%, 14%에 달한다.

  • 개별 주식으로 큰 수익을 내는 사람은 드물고, 그나마 대부분 소액 투자자들이 하루의 가격 변동에 일희일비하는 경향이 있다.

  • 지수 투자는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며, 아무 종목이나 사도 10%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된다.

  • 최근 5년 동안 IWF 러셀 1 상장주에 투자했을 경우 160%의 수익률을 기록하였고, SP500의 중형주에 투자했을 때는 134%의 수익률을 보였다.

  • 특정 분야의 종목들, 특히 에너지 분야의 주식들이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XLE는 에너지 종목의 1위 ETF로 부각되고 있다.

 

2.  주식 투자의 장기 투자 원칙

  • 5년 동안 S&P500 ETF는 281% 상승했으며, 이는 어떤 종목이든 장기 투자 시 결과가 나쁘지 않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 단기 투자는 예측할 수 없는 여러 챌린지들에 부딪히며, 이를 경험한 예로 코카콜라와 테슬라를 언급한다.

  • 주식 투자에서 가격을 가장 낮게 잡는 것이 숙명으로, 하루하루의 가격 변동에 일희일비하면 지칠 수 있다.

  • 지수 투자를 통한 ETF의 활용이 최근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분산 투자로 인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 투자 시 환율, 가격, 그리고 적정 매수 시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첫 시작이 큰 영향을 미친다.

 

3.  S&P500 ETF 매수원칙과 표준편차 활용

  • 68%의 확률로 1 표준 편차, 95%의 확률로 2 표준 편차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투자 시 매수의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 표준 편차의 변동 범위를 벗어날 때 싸게 구매할 수 있으므로, 고점에서 매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우상향하는 종목에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하락세에 있는 종목보다는 상승 가능성이 있는 종목에 투자해야 한다.

  • 기술주, 특히 AI와 반도체 관련 주식은 향후 10년 동안 성장이 기대되며, 하락 시 매수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 최근 QQQ의 1년간 표준 편차는 1.1%로, 변동성이 증가하고 있어 매수 전략 재조정이 필요하다.

 

4.  S&P500 ETF 매수 원칙

  • 2월 27일부터 현재까지의 주가는 1.5%의 매수 조건을 설정하고 있으며, 1.5% 이상 하락할 때 매수 신호가 발생한다.

  • 매수 시나리오는 1.75%, 1.78%, 2.66%에서 각각 100주씩 구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총 평가 수익률은 0.66이며, 매수 기준인 -1.5%에서 2.66% 하락 후에도 2%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 높은 확률로 싸게 구매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며, 세 번의 매수 신호가 있었다.

  • 최근 변동성이 증가한(...) 국면에서 적절한 매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