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TF의 장점과 분산 투자 효과
-
ETF는 기본적으로 분산 투자원칙을 통해 단일 종목에 몰리지 않고 여러 자산에 자동으로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
상장된 ETF는 특정 기준에 따라 최소 시가 총액 70억 이상의 자산을 보유해야 하며, 특정 종목 비중이 30%를 넘지 않도록 법적으로 제한된다.
-
개인 투자자가 모든 자산을 직접 분산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ETF는 투자자 개인의 니즈에 맞춰 간편하게 분산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2. 버퍼 ETF의 구조와 특징

-
버퍼 ETF는 손실을 최대 100%까지 보전할 수 있는 상품이다.
-
한국에 상장될 버퍼 ETF는 10%의 하방 손실을 막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
이 ETF는 1년치 하방을 차단하며, 상방은 대략 10%에서 12%까지 수익을 따라간다.
-
사용되는 옵션은 플렉서블 옵션으로, 고객 맞춤형으로 만기를 설정할 수 있다.
-
투자자는 S&P 상승을 추종하면서 하락에 대해 10%까지 보호받는 전략으로 운용 가능하다.
3. 핀비즈와 시킹 알파 활용하기

-
핀비즈 사이트는 ETF를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설정하고, 다양한 데이터로 분산 인덱스 및 스크리너 기능을 제공한다.
-
구글 크롬의 번역 기능을 활용하면 영어 뉴스 헤드라인을 한글로 번역해 무료로 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시가 총액이 클수록 네모 상자가 커지며, 이를 통해 주요 ETF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시킹 알파는 무료와 유료 버전이 있으며, 기본적인 정보는 무료 버전에서도 충분히 제공된다.
-
IWF ETF는 러셀 1000의 성장 종목에 투자하며, 과거 5년 동안 160%의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4. 다양한 ETF의 성과 분석

-
5년 동안 MDY와 같은 미드캡 ETF는 134%의 수익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그 간의 투자 성과에서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ETF로 평가된다.
-
XLE는 5년 간 280%의 수익을 달성했고, 이 일은 원자재 가격의 흐름과 관계없이 최근 에너지 섹터의 성장을 보여준다.
-
반도체 ETF인 SMH는 5년 동안 212%의 상승률을 보였고, 채권 ETF인 TLT와 SGV도 채권 투자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경향을 보인다.
-
금융주 ETF는 금리가 하락할 때 상대적으로 인기를 끌며, SKRE는 5년간 62%의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
장기 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장의 단기 변동성에 신경쓰지 말고 지속적인 성과를 바라보는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5. 시장의 불확실성과 투자 전략

-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무제한 양적 완화와 같은 여러 이벤트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시장은 큰 변화를 겪었다.
-
주가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급등했으며, 이와 동시에 게임스톱과 비트코인 등 다양한 자산의 변동성이 두드러졌다.
-
인플레이션이 최대 9.1%까지 치솟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긴장감을 조성했고, 유가는 120달러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60달러로 하락하는 등 불확실성이 계속되었다.
-
단기 투자는 은행 예금이 더 낫다고 주장하며, 연간 3%의 수익률이 5년 동안 15%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
ETF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별 종목 투자의 리스크를 피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배당다우존스! 올해도 배당성장 이어갈까?(25년 3월, 월중배당 총정리) (0) | 2025.03.26 |
---|---|
S&P500 장투하고싶은데 손실이 죽어도 싫다면 버퍼ETF로 졸업하세요. (1) | 2025.03.26 |
주식 투자 매수 매도 타이밍 모르시나요? 슈퍼개미 이정윤 세무사의 주식 수업 (2) | 2025.03.26 |
1년에 1억 5천 배당 받아요! 경제적 자유 얻으려면 성장 배당주에 투자하라! 현금 파이프 라인을 만드는 법!ㅣ현영준 작가 (2) | 2025.03.25 |
배당 많이 받으면 이렇게 됩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건강보험료) (2)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