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손실이 보장되는 버퍼ETF 출시티저. 눈감고 찍어도 연 15% ETF?? 사이트 활용 방법.

by 청공아 2025. 3. 26.
반응형

https://youtu.be/khhLBztRNFo

 

이 영상은 ETF투자를 통해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특히, 손실 방어 기능을 가진 버퍼 ETF 출시 예정 소식을 전하며, 투자자들이 하락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핀비즈(Finviz)와 시킹알파(Seeking Alpha)같은 사이트를 활용하여 ETF정보를 분석하고, 분산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결국, ETF를 활용한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본업에 집중하면서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합니다. 이 콘텐츠는 ETF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1.  ETF의 장점과 분산 투자 효과

  • ETF는 기본적으로 분산 투자원칙을 통해 단일 종목에 몰리지 않고 여러 자산에 자동으로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 상장된 ETF는 특정 기준에 따라 최소 시가 총액 70억 이상의 자산을 보유해야 하며, 특정 종목 비중이 30%를 넘지 않도록 법적으로 제한된다.

  • 개인 투자자가 모든 자산을 직접 분산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ETF는 투자자 개인의 니즈에 맞춰 간편하게 분산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2.  버퍼 ETF의 구조와 특징

  • 버퍼 ETF는 손실을 최대 100%까지 보전할 수 있는 상품이다.

  • 한국에 상장될 버퍼 ETF는 10%의 하방 손실을 막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 이 ETF는 1년치 하방을 차단하며, 상방은 대략 10%에서 12%까지 수익을 따라간다.

  • 사용되는 옵션은 플렉서블 옵션으로, 고객 맞춤형으로 만기를 설정할 수 있다.

  • 투자자는 S&P 상승을 추종하면서 하락에 대해 10%까지 보호받는 전략으로 운용 가능하다.

 

3.  핀비즈와 시킹 알파 활용하기

  • 핀비즈 사이트는 ETF를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설정하고, 다양한 데이터로 분산 인덱스 및 스크리너 기능을 제공한다.

  • 구글 크롬의 번역 기능을 활용하면 영어 뉴스 헤드라인을 한글로 번역해 무료로 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시가 총액이 클수록 네모 상자가 커지며, 이를 통해 주요 ETF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시킹 알파는 무료와 유료 버전이 있으며, 기본적인 정보는 무료 버전에서도 충분히 제공된다.

  • IWF ETF는 러셀 1000의 성장 종목에 투자하며, 과거 5년 동안 160%의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4.  다양한 ETF의 성과 분석

  • 5년 동안 MDY와 같은 미드캡 ETF는 134%의 수익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그 간의 투자 성과에서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ETF로 평가된다.

  • XLE는 5년 간 280%의 수익을 달성했고, 이 일은 원자재 가격의 흐름과 관계없이 최근 에너지 섹터의 성장을 보여준다.

  • 반도체 ETF인 SMH는 5년 동안 212%의 상승률을 보였고, 채권 ETF인 TLTSGV도 채권 투자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경향을 보인다.

  • 금융주 ETF는 금리가 하락할 때 상대적으로 인기를 끌며, SKRE는 5년간 62%의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 장기 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장의 단기 변동성에 신경쓰지 말고 지속적인 성과를 바라보는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5.  시장의 불확실성과 투자 전략

  •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무제한 양적 완화와 같은 여러 이벤트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시장은 큰 변화를 겪었다.

  • 주가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급등했으며, 이와 동시에 게임스톱비트코인 등 다양한 자산의 변동성이 두드러졌다.

  • 인플레이션이 최대 9.1%까지 치솟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긴장감을 조성했고, 유가는 120달러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60달러로 하락하는 등 불확실성이 계속되었다.

  • 단기 투자는 은행 예금이 더 낫다고 주장하며, 연간 3%의 수익률이 5년 동안 15%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 ETF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별 종목 투자의 리스크를 피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