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채권보다 좋은 무위험 배당주 9.5% 등장! (ft. 한국/미국 은행주)

by 청공아 2025. 4. 16.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https://youtu.be/ubEM7m2zorQ

 

이 영상은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를 위해 은행주, 특히 배당주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은행의 수익 구조와 한국 및 미국 은행주의 특징을 분석하고, KB금융, 신한지주, JP Morgan, Bank of America등 구체적인 기업 사례를 들어 비교합니다. 특히, 은행 우선주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하며,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강조합니다. 고금리시대에서 저금리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배당률이 높은 우선주가 매력적인 투자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투자 결정 시 장기적인 관점과 기업의 안정성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 영상은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대마진  :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이자(대출 이자)와 예금을 받아 고객에게 주는 이자(예금 이자)의 차이를 말합니다. 은행은 이 차액으로 돈을 벌어요. 마치 땅콩 껍질(예금 이자)을 까서 알맹이(대출 이자)를 얻고, 껍질과 알맹이의 차이로 이득을 보는 것과 같아요.

1.  은행주의 투자 매력과 우선주 전략 예고

  • 은행주는 배당률 측면에서 채권 ETF보다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다 .

  • 고금리상황에서도 은행주의 주가는 하락했지만, 변동성이 커졌을 때 기회를 찾아야 한다 .

  • 한국과 미국의 은행주를 심층 분석하여 투자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

  • 손해보기 어려운 우선주 투자 전략도 함께 소개할 것이다 .

 

2.  은행주의 수익 구조와 배당 내역

 
  • 은행주는 예금이자와 대출이자의 차이인 예대 마진으로 수익을 얻는다. 금리가 오를 때는 예대 마진이 커져 수익이 증가하는 구조이다.

  • 은행은 경제 위기 시에도 예대 마진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한다. 특히, 2008년 경제 위기 때도 예대 마진이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한국의 2023년 세계 100대 은행 중 6개가 한국 은행이다. KB금융은 시가총액 21조 3천억 원으로 대장 은행으로 평가된다.

  • KB금융은 최근 5년간 매출과 순이익이 증가하고 있으며, 연평균 배당 성장률이 29%로 우수하다. 그러나 2010년부터 14년 동안 3번의 배당컷이 있었다.

  • 신한지주는 순이익이 2023년에 4조 8천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9%로 KB금융보다 낮다. 또한, 배당컷이 3번 있었고 동결이 2번 있었던 기록이 있다.

 

3.  우리금융지주의 배당현황과 전망

 
  • 코로나 이후 우리금융지주는 배당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 배당성장률은 연평균 13%로 양호한 수준이다.

  • 하지만 2023년도 순이익 전망치가 하락할 것으로 보이며, 주가의 상승세가 부진한 모습이다.

  • 우리금융지주의 배당률은 8.5%로, 하나금융지주(8.7%)보다 낮지만 여전히 높은 편에 속한다.

  • 배당률은 매일 주가에 따라 변동하므로, 실제 배당액은 보유한 주식 수와 주가에 의존한다.

  • 1억 원 투자 시 예상 배당소득은 KB와 신한이 월 44만원, 하나금융은 월 61만원, 우리금융은 월 60만원으로 나타난다.

 

4.  미국 주요 은행 주식 분석

 
  •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최고가를 갱신하는 반면, 은행주는 최저치를 찍고 있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

  • 대형 은행주중 JP Morgan은 매출과 순이익이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며, 배당 성장률이 연평균 26%에 달하고, 현재 배당률은 2.87%이다 .

  • Bank of America는 실적이 개선 중이나, 주가는 회복되지 않고 있으며, 배당 동결이 3회 있었지만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27%로 높다 .

  • 시티그룹은 현재 주가가 42달러로 2013년 수준에 돌아온 상태이며, 실적 개선이 시급하고 배당 동결이 4회 발생했다 .

 

5.  우선주 투자와 배당 구조의 이해

 
  • 안정적인 배당을 위해서는 배당 성장도 중요하며, 인플레이션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 배당률이 5.04%이지만, 실적이 좋지 않아 매력적이지 않다 .

  • 은행 우선주는 고정 배당금을 지급하며, 주가 변동에 따라 배당률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상승하면 더 높은 배당률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

  • JP모건의 우선주는 초기에 상장가 25달러에 배당금 1.44달러를 지급했으며, 만기일에 따라 다양한 수익 구조가 형성된다 , .

  • 투자자의 선택에 따라 장기적으로 돈을 묶어둘 수 있는지 여부가 우선주 투자의 중요한 요소이다. 만기일에 회수되지 않으면 배당이 지속될 수 있다 .

  • 배당률이 6.2%인 BAC-P와 같은 우선주를 통한 투자에서는 배당을 꾸준히 받으면서 주가 상승에 따른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

 

6.  배당률과 투자 전략

 
  • 시티그룹의 C-J 상품은 현재 9.5%의 높은 배당률을 기록하고 있으나, 25달러 이상의 단가로 인해 회수 시 마이너스 1.7%의 손해를 볼 수 있다 .

  • 배당률이 높은 상품은 매력적이나 투자 시 회수 시점을 조심해야 하며, 특히 2011년도에 회수하지 않은 상품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 투자자는 매수할 수 있는 종목을 잘 선택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은 투자 전략이 된다 .

  • 만기가 있는 투자에서는 수익률 높은 종목을 고르고, 만기가 연장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고배당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투자 자금은 여유돈으로 운용하는 것이 좋으며, 튼실한 기업은 위기 속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