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마진 :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이자(대출 이자)와 예금을 받아 고객에게 주는 이자(예금 이자)의 차이를 말합니다. 은행은 이 차액으로 돈을 벌어요. 마치 땅콩 껍질(예금 이자)을 까서 알맹이(대출 이자)를 얻고, 껍질과 알맹이의 차이로 이득을 보는 것과 같아요.
1. 은행주의 투자 매력과 우선주 전략 예고
-
은행주는 배당률 측면에서 채권 ETF보다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다 .
-
고금리상황에서도 은행주의 주가는 하락했지만, 변동성이 커졌을 때 기회를 찾아야 한다 .
-
한국과 미국의 은행주를 심층 분석하여 투자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
-
손해보기 어려운 우선주 투자 전략도 함께 소개할 것이다 .
2. 은행주의 수익 구조와 배당 내역
-
은행주는 예금이자와 대출이자의 차이인 예대 마진으로 수익을 얻는다. 금리가 오를 때는 예대 마진이 커져 수익이 증가하는 구조이다.
-
은행은 경제 위기 시에도 예대 마진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한다. 특히, 2008년 경제 위기 때도 예대 마진이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한국의 2023년 세계 100대 은행 중 6개가 한국 은행이다. KB금융은 시가총액 21조 3천억 원으로 대장 은행으로 평가된다.
-
KB금융은 최근 5년간 매출과 순이익이 증가하고 있으며, 연평균 배당 성장률이 29%로 우수하다. 그러나 2010년부터 14년 동안 3번의 배당컷이 있었다.
-
신한지주는 순이익이 2023년에 4조 8천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9%로 KB금융보다 낮다. 또한, 배당컷이 3번 있었고 동결이 2번 있었던 기록이 있다.
3. 우리금융지주의 배당현황과 전망
-
코로나 이후 우리금융지주는 배당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 배당성장률은 연평균 13%로 양호한 수준이다.
-
하지만 2023년도 순이익 전망치가 하락할 것으로 보이며, 주가의 상승세가 부진한 모습이다.
-
우리금융지주의 배당률은 8.5%로, 하나금융지주(8.7%)보다 낮지만 여전히 높은 편에 속한다.
-
배당률은 매일 주가에 따라 변동하므로, 실제 배당액은 보유한 주식 수와 주가에 의존한다.
-
1억 원 투자 시 예상 배당소득은 KB와 신한이 월 44만원, 하나금융은 월 61만원, 우리금융은 월 60만원으로 나타난다.
4. 미국 주요 은행 주식 분석
-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최고가를 갱신하는 반면, 은행주는 최저치를 찍고 있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
-
대형 은행주중 JP Morgan은 매출과 순이익이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며, 배당 성장률이 연평균 26%에 달하고, 현재 배당률은 2.87%이다 .
-
Bank of America는 실적이 개선 중이나, 주가는 회복되지 않고 있으며, 배당 동결이 3회 있었지만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27%로 높다 .
-
시티그룹은 현재 주가가 42달러로 2013년 수준에 돌아온 상태이며, 실적 개선이 시급하고 배당 동결이 4회 발생했다 .
5. 우선주 투자와 배당 구조의 이해
-
안정적인 배당을 위해서는 배당 성장도 중요하며, 인플레이션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 배당률이 5.04%이지만, 실적이 좋지 않아 매력적이지 않다 .
-
은행 우선주는 고정 배당금을 지급하며, 주가 변동에 따라 배당률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상승하면 더 높은 배당률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
-
JP모건의 우선주는 초기에 상장가 25달러에 배당금 1.44달러를 지급했으며, 만기일에 따라 다양한 수익 구조가 형성된다 , .
-
투자자의 선택에 따라 장기적으로 돈을 묶어둘 수 있는지 여부가 우선주 투자의 중요한 요소이다. 만기일에 회수되지 않으면 배당이 지속될 수 있다 .
-
배당률이 6.2%인 BAC-P와 같은 우선주를 통한 투자에서는 배당을 꾸준히 받으면서 주가 상승에 따른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
6. 배당률과 투자 전략
-
시티그룹의 C-J 상품은 현재 9.5%의 높은 배당률을 기록하고 있으나, 25달러 이상의 단가로 인해 회수 시 마이너스 1.7%의 손해를 볼 수 있다 .
-
배당률이 높은 상품은 매력적이나 투자 시 회수 시점을 조심해야 하며, 특히 2011년도에 회수하지 않은 상품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
투자자는 매수할 수 있는 종목을 잘 선택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은 투자 전략이 된다 .
-
만기가 있는 투자에서는 수익률 높은 종목을 고르고, 만기가 연장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고배당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투자 자금은 여유돈으로 운용하는 것이 좋으며, 튼실한 기업은 위기 속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적금을 정기예금처럼 굴리는 방법 ! 금리가 더 떨어지기전에 연 3.5%로 고정시킬 수 있다! (3) | 2025.04.17 |
---|---|
"세계 경제 붕괴 임박!" 짐 로저스가 경고하는 2025년 시나리오 #짐로저스 (6) | 2025.04.16 |
티스토리 수익형 블로그 기초 세팅, 돈 버는 블로그 세팅은 따로 있습니다 (4) | 2025.04.16 |
'토종 포털' 다음의 눈물...티스토리 위기설, 진짜 없어질까? (0) | 2025.04.16 |
S&P500 조정장 시작, 하락할 수밖에 없는 시장에서 이렇게 매수 합니다ㅣ보글헤드 (3)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