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말 답답합니다. 이대로면 한국 경제 폭망한다. 한국 주식 말고 '이것' 사라 (곽수종 박사 / 1부)

by 청공아 2024. 6. 19.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https://youtu.be/VaymjTF0Quk?si=r95VtsWns7-rZ3w9

 

### 미국 경제 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이 적자 운영에서 흑자 창출로 전환하면서 달러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 정책의 초점은 재정 적자 관리와 금리 변화의 잠재적 영향에 맞춰져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및 배터리 부문의 미국 산업 유치 경쟁은 중국 경제와 보호주의 정책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 재벌과 중국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재벌들은 특혜를 받은 만큼 국민에게 환원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해 있고, 중국은 자국 기업에 무차별적인 보조금을 지급하는 독특한 경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에 맞서 반도체 기업을 유치하고 기간산업과 노동시장 강화를 위한 재정정책을 펼치며 금리 변동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가계에 돈을 쏟아 붓고 있지만 미국 경제는 특히 노동 시장과 소비에서 개선과 불확실성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 미국 경제 정책이 달러와 재정적자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미국 경제는 현재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3.1%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 방향 전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 강세가 유지될 경우 일본의 상황과 유사하게 무역 및 재정 적자가 누적될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 경제는 정책을 통해 적자를 흑자로 전환할 수 있는 취약점이 있으며, 이는 달러화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미국 경제 정책이 글로벌 투자에 미치는 영향
미국은 비트코인, 인공지능, 마이크로소프트의 독과점 문제 등을 적극적으로 다루며 글로벌 분쟁과 역동성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한국이 미국 금리에만 집중하는 것은 편향된 투자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연사는 한국 주식 시장에 대한 투자와 과학기술에 대한 정부의 접근 방식을 비판하며, 보다 독립적인 경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 생계와 경제 시스템에 대한 오해
곽수종 작가가 이야기하는 생계는 동네 빵집과 떡집에서 경험하는 생계와는 다릅니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인간의 본성과 본능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칼 마르크스가 런던에서 목격한 것처럼 자본주의의 몰락에서 산업혁명의 역할도 강조됩니다.

### 사회주의와 아베노믹스가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사회주의가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한국에서는 이념적, 정치적 분열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연사는 민생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고 비판하고 한국의 경제 성장에 대한 회의감을 표명하며 미국으로의 전환을 제안합니다. 일본에서 시행된 아베노믹스는 기업 가치를 확대하고 업그레이드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설명되지만, 발표자는 원칙과 입법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한국 기업의 성장과 이익 잠재력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합니다.

이 포스팅에는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